[품새 트레이닝의 교과서] 극상근? 승모근 문제시 흔히 일어나는 증상


  

태권도 품새 선수를 위한 케이스별 셀프근막이완법

본 글은 태권도, 트레이닝, 재활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저자들이 저마다 경험적 지식을 최대한 발휘하여 현장에서 실제로 효과가 검증된 다양한 트레이닝 방법과 부상 예방 운동 등을 본 책에 담았습니다. 매일 밤 유투브를 검색하며 선수들을 위해 밤새는 지도자분들과 부상을 염려하며 훈련에 주저하는 선수들, 0.01점 을 극복하기 위해 고통을 무릅쓰고 훈련하는 선수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대표저자 전민우-

 

Supraspinatus (극상근)

 

극상근 문제시 흔한 증상


1.   어깨 중 삼각근, 팔꿈치 부분 통증 방사
2.   외전 시 강한 통증과 빗질, 칫솔질 시 심 한 통증을 호소한다.
3.   팔을 올릴 때보다 내릴 때 통증이 심 하다.
4.   극상근의 문제로 수면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목 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인 팔 저림 증상과 팔꿈치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한쪽 팔을 뒷짐 지고 스트레칭할 수 있다. 상부 승모근 아래에 있기 때문에 마사지 볼을 이용해 문지를 때 깊게 눌러주어야 한다. 

 

Tip    어깨의 딸깍, 똑소리가 나는 원인으로 팽팽해진 근육이 어깨 관절의 정상적인 미끄러짐을 방해하기 때문이 다. 극상근 이완 시 소리가 없어진다.

 

Trapezius (승모근)

 

승모근 문제시 흔한 증상


1. TP1 : 후경부 외측, 하악각 부위 통증과 편두통과 연관

2. TP2 : 후두하 삼각 부위 통증과 연관.
3. TP3 : 견갑골 상부지역에 통증(하부 승모근 이완성 긴장)

4. TP4 : 견갑골 내측연 지속적 통증을 유발.
5. TP5 : 거북목증후군, 버섯 증후군과 연관된다.

6. TP6 : 견봉 부위에 통증이 유발.
7. TP7 : 동측 상완 외측에 “소름이 끼치는 듯한” 통증이 나타난다.

 

 

중부, 하부 승모근의 약화는 ‘라운드 숄더’ 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머리의 위치가 앞으로 1cm 이동할 때마다 목이 받는 부하는 2~3kg씩 증가하는데, 이완성 긴장 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풀어 주고 강화 운동까 지 해야 한다.

 

기본 동작은 폼롤러를 승모근에 위치 후 골반을 살짝 들어 체중을 싣고 롤링한다.

Tip    위의 증상 그림을 참고하여 통증 양상에 따라 폼롤러나 땅콩 볼의 위치를 수정한다. 

 

 

 

책 구입처 (아래 주소)

https://shop.mookas.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93263


[무카스미디어 = 글 전민우 사범 외 ㅣ press@mookas.com]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민우 #WTPTA #경희대 #단군 #태권도품새트레이닝의교과서 #품새선수 #부상 #태권도부상

댓글 작성하기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