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대한민국 종합 2위… 역대 최다 금메달 타이기록


  

 

  • 빙상·설상 고른 활약, 신·구 조화 속 세대교체 가속화
  • 바이애슬론·쇼트트랙 단거리 등 사상 첫 금메달 쾌거
개회식에 입장하는 대한민국 선수단

"빙상은 강하고, 설상은 성장했다!"

대한민국 선수단이 2025 제9회 하얼빈 동계아시아경기대회(이하 동계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16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14개로 총 45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2위를 기록했다.

 

특히, 금메달 16개는 대한민국 동계아시안게임 역대 최다 기록과 타이를 이루며, 종목별 다양성과 선수층의 확장을 보여준 대회로 평가된다.

 

대한민국 선수단(단장 최홍훈)은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빙상뿐만 아니라 바이애슬론, 프리스타일스키, 스노보드 등 설상 종목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며 동계 스포츠의 저변을 넓혔다. 이번 대회에서 신·구 선수들이 조화를 이루며 자연스러운 세대교체가 이뤄졌다는 점도 큰 성과로 꼽힌다.

 

바이애슬론·쇼트트랙 단거리 사상 첫 금메달… 새 역사 쓴 대한민국

쇼트트랙

이번 대회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는 대한민국 바이애슬론 사상 첫 동계아시안게임 금메달이다. 압바꾸모바 예카테리나(35·전남체육회)는 역사적인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바이애슬론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빙상의 중심 쇼트트랙에서도 이변이 일어났다. 기존 중·장거리에서 강세를 보였던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 최민정(27·성남시청)이 여자 500m 금메달을 따내며 한국 쇼트트랙 사상 최초로 단거리 우승을 차지했다.

 

이와 함께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차준환(24·고려대)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으며, 스노보드 하프파이프에서는 김건희(17·시흥매화고)가 정상에 오르며 대한민국 최초의 동계아시안게임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신설 종목 강세… 설상 종목 약점 극복 신호탄

 

대한민국 선수단은 이번 대회에서 신설 종목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했다. 프리스타일스키 하프파이프에서는 이승훈(20·한국체대)이 금메달, 문희성(19·설악고), 장유진(24·고려대)이 각각 동메달을 차지하며 한국 설상 종목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프리스타일스키 빅에어에서는 윤종현(20·단국대)이 은메달, 신영섭(20·강원대)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에서는 이채운(19·수리고)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강동훈(19·고림고)은 슬로프스타일과 빅에어에서 각각 동메달을 추가하며 신흥 강자로 떠올랐다.

 

컬링 믹스더블에서는 김경애(31·강릉시청)와 성지훈(28·강원도청) 조가 은메달을 획득하며 종목 첫 메달을 따냈다.

 

대한민국 빙상의 저력… 최다 메달·신기록 행진

컬링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강세 종목인 빙상에서도 값진 기록이 이어졌다.

 

스피드스케이팅 이승훈(37·㈜알펜시아)은 남자 팀추월에서 은메달을 추가하며 동계아시안게임 최다 메달 기록을 경신했다. 그는 이번 대회까지 합산하여 금메달 7개, 은메달 2개를 기록, 기존 김동성(금3, 은3, 동2)의 기록을 넘어섰다.

 

쇼트트랙 대표팀 역시 강원(1999), 아오모리(2003) 대회에 이어 역대 최다 메달 타이기록(6개)을 세우며 전통적인 강자의 면모를 재확인했다.

 

스피드스케이팅 이나현(20·한국체대)은 시니어 무대 첫 시즌임에도 출전 전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성공적인 데뷔전을 치렀다. 또한, 쇼트트랙 최민정과 김태성(24·서울시청)은 아시안게임 신기록을 세우며 한국 빙상의 위상을 높였다.

 

베테랑과 신예의 조화… 대한민국 동계 스포츠의 미래를 열다

2025 하얼빈동계아시아경기대회 피겨

이번 대회는 베테랑 선수들과 신예들이 조화를 이루며 경기력을 한층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존에 대한민국이 약세를 보였던 종목에서 첫 메달을 따내며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했고, 빙상에서는 세대교체가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모습이 포착됐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현지시간 2월 14일(금) 오후 8시 하얼빈국제컨벤션·전시·체육센터에서 열리는 폐회식에 참석한 뒤, 지난 15일 오후 2시 40분 아시아나항공 OZ340편을 통해 귀국했다. 인천국제공항 도착 후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가 준비한 대한민국 선수단 환영행사가 진행됐다. 

 

대한민국은 이번 대회에서 동계스포츠의 저변을 넓히는 동시에 종목별 경쟁력을 키우며 또 한 번 의미 있는 도약을 이뤘다. 다음 동계아시안게임에서는 종합 1위에 도전할 수 있을지, 대한민국 선수단의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사진 제공 = 대한체육회)

[무카스미디어 = 이동엽 기자 ㅣ press@mookas.com]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동계아시안게임 #하얼빈 #아시안게임 #피겨 #스피드프케이팅 #쇼트트랙 #차준환 #대한체육회 #문화체육관광부 #빙상

댓글 작성하기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