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옛날 옛적에… '대나무 호구' 복원품 전시
발행일자 : 2021-08-31 15:24:34
수정일자 : 2021-08-31 15:25:28
[한혜진 / press@mookas.com]


국립태권도박물관, ‘무형문화재와 무예, 그 특별한 만남을 담다’ 기획 전시

바야흐로 태권도 경기는 심판판정의 공정성을 위해 전자호구를 도입했다. 몸통을 보호하고 전자 센서와 통신으로 점수 체계까지 포함한다.
반세기 전 태권도가 초창기 때 몸통 호구는 어땠을까. 대나무로 호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때가 있었다. 몸통은 보호했을지, 가격한 선수의 발은 온전했을지가 궁금하다.
태권도진흥재단(이사장 오응환)은 국립태권도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무형문화재와 무예, 그 특별한 만남을 담다’ 기획 전시를 개최한다.
8월 31일부터 개최하는 이번 기획 전시는 2016년 전북 무형문화재 제55호로 지정된 ‘전북 겨루기 태권도’를 비롯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무예 종목인 택견과 활쏘기에 등에 관한 전시를 통해 무예가 가지고 있는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조명한다.
1950~60년대 전라북도에서 사용하던 직접 타격 중심의 겨루기 경기 기술과 규칙은 당시 국내 태권도대회에 그대로 보급되었다.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전시물로 전라북도에서 개발한 몸통 보호구인 ‘대나무 호구’ 복원품도 이번 기획 전시에서 감상할 수 있는 등 사료적 가치를 지닌 146점의 전시물을 만날 수 있다.
태권도진흥재단 오응환 이사장은 “기획 전시를 통해 태권도가 지닌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되새겨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며 “태권도진흥재단은 앞으로도 태권도를 비롯해 우리나라 전통무예 역사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 성과를 국민 여러분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무형문화재와 무예, 그 특별한 만남을 담다’ 기획 전시는 내년 2월 27일까지 진행한다.
[무카스미디어 = 한혜진 기자 ㅣ haeny@mookas.com]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한혜진 |
태권도 경기인 출신의 태권도·무예 전문기자. 이집트 KOICA 국제협력요원으로 태권도 보급에 앞장 섰으며, 20여 년간 65개국 300개 도시 이상을 누비며 현장 중심의 심층 취재를 이어왔다. 다큐멘터리 기획·제작, 대회 중계방송 캐스터, 팟캐스트 진행 등 태권도 콘텐츠를 다각화해 온 전문가로, 현재 무카스미디어 운영과 콘텐츠 제작 및 홍보 마케팅을 하는 (주)무카스플레이온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국기원 선출직 이사(언론분야)와 대학 겸임교수로도 활동하며 태권도 산업과 문화 발전에 힘쓰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