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체대 교수 소개 및 커리큘럼
김승모


한국체육대학교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
1. 연혁
1976.12.30 Established by Goverment Foundation Law
1986.11.29 Doctral program in Sports Science was established
1998. 3. 1 Department of Taekwondo was established with 40 students.
2. 교수진
<태권도부>
1) 이승국
전공 : 태권도
1972년 명지대학교 졸업
1996년 명지대학교 체육대학원 졸업(이학박사)
1983년 국가대표코치
1986년 아시아경기대회 국가대표 코치
1988년 서울 올림픽 국가대표 코치
1992년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교무처장
2) 문원재
전공 : 태권도
1985년 한국체육대학 체육학과 졸업
1992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졸업
1991년 - 1995년 한국체육대학교 강사
1995년 -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태권도학과>
1) 안용규
전공 : 체육철학, 체육원리
1982년 한국체육대학 체육학과 졸업
1982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졸업 (이학박사)
1988년 - 1995년 용인대학교 채육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1990년 국가대표 코치
1995년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태권도학과장
2) 정락희
전공 : 인체해부학
1977년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과 졸업
1977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졸업
1978년 - 1980년 충암고등학교 교사
1980년 -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1988년 - 태권도 학회이사
1997년 - 한국 격투기 연맹 이사
3. 한체대 태권도부 및 태권도학과 커리큘럼
1) 태권도 개론 (Introduction of Taekwondo)
태권도의 기본 동작, 품새, 겨루기, 호신술, 시범, 경기규정, 심판규정등 태권도의 제반기초 이론을 다룬다.
2) 태권도 연무론 (Theory of Taekwondo Demonstration)
태권도 시범의 구성과 종류 그리고 시범 프로그램의 작성요령 등을 인지하고 이해시키며, 수련을 통해서 연마된 기본동작, 품새, 겨루기, 격파, 호신술 및 특기 기술과 묘기등을 조화롭게 구성하여 규정된 시간 내에 태권도의 진면목을 보여 줄 수 있는 기능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내적으로는 자아를 실현하고, 외적으로는 태권도 보급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3) 태권도 지도론 (Theory of Taekwondo Teaching)
태권도 지도의 개요, 원리, 구성요소, 방법, 실제, 평가 등의 지도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졍확히 이해하고 학습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지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킨다.
4) 태권도 경기 운영론 (Theory of Management in Taekwondo Game)
경기의 의의, 경기규칙, 경기장의 시설 및 장비, 경기방법, 심판법 등의 경기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학습하여 실제 현장에서도 직접 경기를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5) 운동역학 (Biomechanics)
태권도 분야에 응용되는 역학의 개념과 영역을 이해하도록 한다. 이를 기초로 손동작과 발차기 동작에 역학적인 개념을 적용하여 정확하고 효과적인 동작 수행 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미래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갖춘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갖게한다.
6) 태권도호신술 (Taekwondo Self Defence)
태권도 수련을 통하여 상대방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즉 공격해 오는 상대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겨루기에서 습득한 기술을 상대의 움직임에 따라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지도한다. 또한 상대방이 무기를 들었거나 잡혔을 때 등의 어떠한 위기 상황에서도 본인의 신체부위를 사용하여 대처 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게 된다.
7) 태권도 격파술 (Taekwondo Skill of Taekwondo)
힘의 원리를 이해하고 각종 공격 부위에 따른 격파시의 올바른 자세와 중심 이동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묘기 격파에서나 위력 격파에서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수련하는 과정이나 기능을 습득케 함으로서 실전에서의 자신감을 고취시키는데 그 목표가 있다.
8) 특수무술 (Special Martial Arts)
태권도와 관련성을 두고 파생된 무술들의 개요와 기술체계를 습득함으로써 태권도의 가치를 재고시키며, 이를 통하여 태권도 시술 개발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지도한다.
9) 내공수련법 (Training of Dody Energy)
무동인에게 필요한 내공법과 호흡수련의 기본개념과 그 요령을 숙지케 하여 현재의 신체 기능과 건강을 증진시키고 태권도 수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숨고르기,마음 고르기, 몸 고르기의 실습을 통하여 단전행공법의 올바른 방법을 터득케 한다.
10) 태견 (Taekwondo)
태권도와 가장 유사한 기술 유형을 지닌 전통적인 택견의 개요와 수련방법 및 특성을 이해하고, 택견의 기본 자세와 기본 기술의 변화와 움직임의 변화를 실제로체험하게 한다. 따라서, 태권도의 택견의 기술성, 유사성 비교를 통해 태권도의 근원에 대한 탐구 능력을 기르고, 태권도 기술 발달을 이를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을 키운다.
11) 봉술 (Practical Stick Skill)
봉술의 원리와 기본 수의 기초적 이론과 실기 교육을 통해서 기본 겨루기의 의미를 이해하겨 봉술의 바른 이치를 깨닫게 한다.
12) 수기요법 (Therapeutic Manipulation)
맨손을 이용하여 근육과 임파 및 신경을 자극하여 자율신경계를 조절하거나 경혈 자극에 의한 경락의 흐름을 조절하여 심리적, 육체적 긴장을 이완시키고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기법을 학습한다.
13) 비교무술 (Comparative Martial Arts)
각종 무술의 형태와 특성을 비교 분류하여 각 무술과 상호연관 관계를 비교,연구하고 무술의 효율적인 발달과정에 기여하며, 태권도와는 다른 무술의 기본자세와 기술을 학습함으로서 무술에 대한 안목을 넓히고 동작의 창작 능력을 기른다.
<태권도부>
3학년 커리큘럼
구분
|
교과목명
|
시간수
|
학점
|
|
전공이론
|
필수
|
운동생리학
|
3
|
3
|
선택
|
체육철학
|
2
|
2
|
|
체육사회학
|
3
|
3
|
||
체육교정과정
|
2
|
2
|
||
안전학
|
2
|
3
|
||
비교체육학
|
3
|
3
|
||
트레이닝 방법론
|
3
|
3
|
||
운동실습 4
|
2
|
1
|
||
스포츠 시설관리
|
2
|
2
|
||
전공실기
|
필수
|
전문실기 5, 4
|
36
|
3
|
선택
|
배구
|
2
|
1
|
|
농구
|
2
|
1
|
||
테니스, 베드민턴
|
2
|
1
|
||
태권도
|
2
|
1
|
||
체조 3
|
2
|
1
|
||
스포츠마사지
|
2
|
1
|
||
육상
|
2
|
1
|
||
교직과목
|
교육행정
|
2
|
2
|
|
교육사회학
|
2
|
2
|
||
체육과 교육론
|
2
|
2
|
||
체육과 지도법
|
2
|
2
|
4학년 커리큘럼
구분
|
교과목명
|
시간수
|
학점
|
|
전공이론
|
선택
|
체육관리
|
2
|
2
|
코치론
|
2
|
2
|
||
체육측정평가
|
3
|
3
|
||
레크레이션 이론
|
2
|
2
|
||
레크레이션 실습
|
2
|
2
|
||
체육 연구법
|
2
|
2
|
||
체육 통계
|
2
|
2
|
||
평생 체육
|
3
|
3
|
||
스포츠 의학
|
2
|
2
|
||
체육 세미나
|
2
|
2
|
||
스포츠 영양학
|
2
|
2
|
||
생체 역학
|
3
|
3
|
||
체육 행정
|
2
|
2
|
||
신체 발육론
|
2
|
2
|
||
실험 실습 1, 2, 3
|
6
|
2
|
||
전공실기
|
필수
|
전문실기 7, 8
|
36
|
3
|
선택
|
수영 2, 3
|
4
|
1
|
|
골프, 탁구
|
2
|
1
|
||
교직과목
|
교육사 철학
|
2
|
2
|
|
교육 실습
|
2
|
2
|
||
<태권도학과>
3학년 커리큘럼
구분
|
교과목명
|
시간수
|
학점
|
|
전공이론
|
필수
|
태권도 지도론
|
2
|
2
|
태권도 연무론
|
3
|
3
|
||
태권도 경기 운영론
|
3
|
3
|
||
선택
|
운동 심리학
|
2
|
2
|
|
체육 측정평가
|
2
|
2
|
||
트레이닝 방법론
|
2
|
2
|
||
운동 역학
|
2
|
2
|
||
스포츠 사회학
|
2
|
2
|
||
체육 행정
|
2
|
2
|
||
전공실기
|
필수
|
태권도 응용동작 1
|
4
|
2
|
태권도 품새 2
|
4
|
2
|
||
태권도 실전 겨루기 1
|
4
|
2
|
||
선택
|
봉술
|
4
|
2
|
|
수상 스포츠
|
2
|
1
|
||
테니스
|
2
|
1
|
||
택견
|
4
|
2
|
||
골프
|
2
|
1
|
||
축구
|
2
|
1
|
||
4. 연락처(Address)
Address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륜동 88-15 (88-15 Oryun-dong, Sonpa-gu, Seoul. Korea, 138-763)
Telephone : (02) 410 - 6700
Fax : (02) 418 - 18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