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은의 건강백서] 선생님 저는 왜 항상 손발이 찰까요?
발행일자 : 2010-02-05 19:04:52
<글 = 심정은 빼어날 수 한의원 원장>



한의학에서 손발이 차가운 것은 ‘궐증(厥證)’이라고 합니다. 궐(厥)이라는 것은 우리 몸에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어야하는 음양(陰陽)이 어떠한 이유로 인해서든 서로 이어지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궐증은 통상 손발이 차가운 경우(한궐)를 말하지만, 반대인 손발에 열이 나는 경우에는 열궐(熱厥)이라고 칭합니다. 둘 다 음양의 조화가 맞지 않아 생기는 증상이므로 모두 궐(厥)이라고 칭하는 것입니다. 지나치게 손과 발에 열이 나는 사람은 반대로 몸이 으슬으슬하고 춥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궐증(厥證)은 신장(腎臟)의 정기(精氣)가 고갈되어서 옵니다. 동의보감에 “신장이 허하면 배가 아프고, 손발이 싸늘하고 마음이 즐겁지 않다”고 했습니다. 이와 같이 손발이 찬데다가 정신적으로 우울감이 동반된다면 신장이 허하여 그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로 이렇게 궐증이 오시는 분들은 외형적으로 얼굴이 검거나 눈이나 얼굴이 오목렌즈처럼 움푹 패이신 경우가 많습니다.
형상의학에서는 이를 궐음형(厥陰形)이라고 합니다. 물론 모든 궐음형의 분들이 이와 같은 증상을 호소하시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체질에 비해서 궐증이 오기가 쉽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약초 중에서도 유독 성미(性味)가 대열(大熱)하기로 유명한 부자(附子)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부자는 맛이 맵고 성질이 뜨거워 그 성질이 쉬지 않고 돌아다닙니다. 따라서 한증(寒症)으로 인한 제반 통증(痛症)을 고치고, 양기(陽氣)를 급하게 회복하고자 할 때에 쓰게 됩니다.
하지만 이 약재는 절대 많이 써서는 안 되고 아주 조금만, 그것도 몸에 맞는 경우에만 써야 합니다. 또한 궐음형(厥陰形)의 체질약으로는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당귀사역탕을 두고 “궐음증으로 손발이 싸늘하고 맥이 끊어질 듯한 것을 치료한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에는 위에 설명한 부자(附子)가 들어가지는 않지만 당귀, 백작약, 계지, 세신, 통초, 감호가 들어가서 回陽求逆(회양구역)하는 효과, 즉 양기를 회복하고 위급한 증을 구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대로 손발이 뜨거운 열궐(熱厥)은 특히 남자 분들 중에 나타날 수 있는데, 발이 화끈거려 이불 밖으로 발은 내놓지 않으면 답답해서 잠을 이루지 못한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동의보감에서는 “열궐(熱厥)이 있는 사람은 자주 술에 취하고 배불리 먹은 후 성생활을 한다. 그래서 술기운과 곡물의 기운이 비장에 모여서 흩어지지 않고 맞부딪쳐 열이 속에서 성해진 것이다. 이 때문에 온몸에서 열이 나고 속에서도 열이 나면서 소변이 벌겋게 되는 것이다. 술기운은 왕성하면서 날래고 사납기 때문에 신장의 기운이 나날이 쇠하여지고 결국 양기(陽氣)만이 성하여 손발에 열이 나는 것이다”고 했습니다. 이처럼 주색(酒色)에 상하여 병이 오기 쉽기 때문에 항상 주의하셔야 합니다.
심정은 원장 이력

대한한의학회 회원
대한형상의학회 회원
전국의료관광협회 회원
대한약침학회 정회원
궁금하신 사항은 언제든 02) 469-5990로 전화주세요.
*심정은의 건강백서는 매주 금요일 연재됩니다.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작성하기
-
겨울오면 항상 고생
2010-02-09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