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새 트레이닝의 교과서] 능형근, 대흉근 문제시 흔한 증상
발행일자 : 2020-04-01 12:48:13
수정일자 : 2020-04-02 09:10:00
[무카스 편집팀 / press@mookas.com]


태권도 품새 선수를 위한 케이스별 셀프근막이완법
Rhomboid Major, Minor (능형근)
능형근 문제시 흔한 증상
1. 견갑골과 척추기립근 사이에 통증 집중.
2. 견갑거근 통증과 유사하나 목의 통증은 없고 목의 회 전을 제한하지 않는다.
3. 대, 소흉근의 단축성 긴장에 의해 계속된 능형근 이완 성 통증이 발생.
4. 만성적 근 긴장은 상후거근의 문제 발생
5. 견갑골을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리와 관련된다.
승모근과 능형근은 겉근육과 속근육으로 겹쳐 있기 때 문에 다양한 동작을 응용해서 풀어주어야 원인을 효 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근육은 움직임에 따라 반응 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응용 동작을 통해 승모근과 능 형근의 통증 유발점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Pectoralis Major (대흉근)
대흉근 문제시 흔한 증상
1. 쇄골지 : 전삼각근 부위와 대흉근 쇄골지 자체에 국소적 통증을 방사한다.
2. 흉골지 : 전흉부와 팔의 내측을 따라 내려 가는 통증과 연관된다.
3. 늑골지 : 유두가 과민해지는 유방의 압통 을 호소한다.
4. 대흉근의 단축성 긴장이 승모근과 능형근 의 만성적인 이완성 긴장을 유발시킨다.
5. 좌측 대흉근 TP는 심장질환이 없는 사람 에서도 심장질환과 유사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대흉근은 총 3가지(쇄골지, 흉골지, 늑골지)로 구분되는데 어 느 동작에서 통증을 호소하는지에 따라 동작과 기술이 다르 다. 기본적으로 쇄골에서 팔 쪽으로 쓸어내리듯 문지르면 쇄 골지가 마사지된다. 가슴 중앙에서 수평으로 하는 기술은 흉 골지, 아래 가슴을 대각선으로 쓸어 올리거나 한 쪽 팔을 대 각선으로 들고 하는 테크닉은 늑골지를 더 효과적으로 마사 지할 수 있다.
책 구입처 (아래 주소)
https://shop.mookas.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93263
[무카스미디어 = 글 전민우 사범 외 ㅣ press@mookas.com]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