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PTA] '목빗근' 문제시 흔한 증상과 셀프 근막 이완법


  

태권도 품새 선수를 위한 케이스별 셀프근막이완법

 

본 글은 태권도, 트레이닝, 재활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저자들이 저마다 경험적 지식을 최대한 발휘하여 현장에서 실제로 효과가 검증된 다양한 트레이닝 방법과 부상 예방 운동 등을 본 책에 담았습니다. 매일 밤 유투브를 검색하며 선수들을 위해 밤새는 지도자분들과 부상을 염려하며 훈련에 주저하는 선수들, 0.01점 을 극복하기 위해 고통을 무릅쓰고 훈련하는 선수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대표저자 전민우-

 

 

흉쇄유돌근 문제시 흔한 증상


1. 흉골 상부 통증과 마른 기침과 연관되며 고개 회전이 잘 안된다. (하부 T.P)
2. 동측 뺨을 가로지르는 통증, 안와 상부 능선, 눈 깊숙한 통증과 연관된다. (중부 T.P)
3. 뒤통수와 정수리에 통증을 방사한다. (상부 T.P)
4. 전두통 과 귀에 통증을 발생시키며 심해지면 반대쪽에도 영향을 미친다. 

 

 

목의 회전과 굴곡을 담당하는 근육으로 한쪽만 더 심하게 단축되는 경우가 많으며, 신경이 연결되어 있어, 허리의 유 연성도 같이 안 좋아진다.  

고개를 들었을 때 턱과 이마가 수평이 되지 않으면 흉쇄 유돌근에 기능장애이니 고개를 살짝 숙이고 좌/우로 회전하면서 마사지 볼을 활용해 가볍 게 풀어주거나, 옆으로 누워 요가 블럭을 활용해 마사지를 해주면 증상이 개선된다.

 

Tip    거북목과 밀접하게 관련된 근육이며, 잘못 풀어주 게 되면 기침을 유발하기도 한다.

 

 

사각근 문제시 흔한 증상


1. 가슴과 상지, 견갑골 안쪽까지 통증이 방사된다. 
2. 어깨 전면부와 팔의 외측, 전완근의 외측, 엄지, 검지 손가락까지 통증이 방사된다.
3. 사각근 문제시 팔에 힘이 잘 안 들어가고 저리며 뻣뻣해진다. 
4. 흉곽출구증후군과 연관되며 잘못된 자세와 호흡에 영향을 미친다. 

 

 

목 디스크와 사각근 증후군은 연관성이 깊다. 사각근 증후군 은 목에 부착된 사각근의 과도한 경직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사각근 주변을 지나 팔로 가는 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한다.

고 개를 들어 사각근을 스트레칭 후 가볍게 볼을 이용해 문질러 준다. 깊은 곳을 풀어줄 때는 적용 부위와 턱을 가깝게 붙이고 문질러 주어야 풀어줄 수 있다.

 

Tip    사각근 아래로 신경이 지나가기 때문에 무리하게 문 지르면 오히려 팔 저림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니 조 심해야 한다. 

 

책 구입처 (아래 주소)

https://shop.mookas.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93263


[무카스미디어 = 글 전민우 사범 ㅣ press@mookas.com]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wtpta #전민우 #품새선수 #단군 #셀프근막이완법

댓글 작성하기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
  • 치료무술

    팔에 힘빼고 주먹을 질러야 효과적!https://youtu.be/KYCFNdq-dgo

    2020-03-28 17:03:00 수정 삭제 신고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