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PTA 칼럼] 번아웃을 이겨내기 위한 작은 재미의 목표실천
발행일자 : 2019-09-20 09:25:06
수정일자 : 2019-09-20 14:02:49


반복된 훈련으로 선수들은 쉽게 번아웃증후군을 겪는다

반복된 훈련으로 선수들은 쉽게 번아웃증후군(Burnout syndrome)을 겪게 된다.
번아웃 증후군이란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정신적, 신체적으로 높은 피로감을 느끼며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이야기 하는데, 선수들은 종종 번아웃 증후군을 극복하지 못하고 슬럼프로 발전하기도 한다.
선수들은 왜 번아웃 증후군을 경험하게 되는걸까?
이 현상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존재하지만, 오늘 이야기하고 싶은 부분은 ‘재미’이다.
선수들은 반복되는 훈련 속에서 지쳐간다. 모든 운동이 그렇듯 태권도 또한 예외가 아니다. 겨루기도, 품새도 시범마저도 반복훈련이 기본이다. 의미있는 반복훈련이라면 정신적 긴장감으로 정신적 피로가 몰려올 것이고, 의미없는 반복훈련이라면 말 그대로 의미없는 반복이기에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의미가 있는지 없는지를 정하는 것도 선수들의 심리상태에 달려있다)
이러한 훈련 뒤에 선수들은 육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느끼고 휴식을 취하고 싶어하며, 휴식 후에는 다시 재미없는 운동으로 복귀하기 싫어하게 된다. 하지만 운동을 쉬게 되면 뒤처지게 될 것만 같은 불안감에 쉬는 것도 잘 못하고 다시 운동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반복을 막기 위해 운동을 하면서 번아웃을 이겨내는 방법이 필요하다.
필자는 목표설정이라는 전통적이면서 누구나 중요성과 효과성을 인정하는 방법을 응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목표설정을 통한 성취감이 중요하며, 영향력이 높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다. 그러나 그 목표가 운동, 또는 일에만 한정되어야 하는 것일까? 이는 다른 것에도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다.
사실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는 것은 매우 스트레스 받는 일로 느껴질 수 있다. 때문에 목표설정의 시작은 ‘재미’에 초점을 맞추고 목표달성이 숙달되었을 때, 운동목표를 한 두개씩 추가 하여 목표설정과 달성에 익숙해지기 위한 목표설정 훈련의 의도도 포함되어 있다.
‘재미’를 위한 목표설정은 두 가지 규칙이 있다. 첫째, 운동, 경기성적 등과 큰 관계가 없어야 한다. 운동성과와 경기성적과 관계가 있는 목표라면 이미 훈련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재미’가 떨어진다.
둘째, 훈련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우리 모두 훈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재미’의 목표설정을 하는 것인데, 훈련에 방해가 된다면 그것은 본말전도이다.
그렇다면 ‘재미’를 위한 목표설정은 무엇인가?
첫 번재 방법은 나만의 챌린지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오늘은 양말은 한쪽은 짧은목, 한쪽은 긴목 양말을 신고 훈련에 나가면 몇 명이나 눈치채고 말을 걸어올 것인가? 3명 이하면 내가 승리!’ 라던가, ‘이번 주는 내내 빨간 색 티만 입고 운동을 할거야! 알아채고 말하는 사람이 2명 이하면 내가 승리!’, ‘오늘의 목표는 전체 파이팅을 10번 이상 넣으면서 파이팅 그만 넣으라고 지적받지 않는거야! 지적받지 않으면 내가 승리!’. 이런식으로 사소하면서 재미있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팀 단위로 움직이는 것이다. 선수들끼리 모종의 합의를 통해 ‘지도자에게 들키지 않고 비상구 탈출 동작을 3초 이상씩 하기. 지도자에게 혼나거나 지적받으면 실패’, ‘(지도자가)선수들이 미트를 찰 때 박자에 맞춰서 3초 이상 춤추기’, ‘오늘은 모두 다같이 영어단어 쓰지 않기(생각보다 태권도 훈련할 때 영어 단어가 많다. 미트, 타겟, 스파링 등.) 쓰는 사람은 물 한컵 원샷(한컵이나 원샷도 영어기 때문에 벌칙 지정하다가도 벌칙대상자가 될 수 있다)’ 등과 같은 다같이 즐길 수 있는 재미있는 룰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물론, ‘재미’를 위한 목표도 매일하면 스트레스가 된다. 반복만큼 ‘재미’가 없는 일도 없다. 때문에 선수들의 컨디션과 분위기를 보면서 가끔씩 시도하면 훈련의 재미가 높아지고 팀 응집력의 향상에도 작은 도움을 줄 것이다.
(글. 석류 스포츠심리학박사, 1급 스포츠심리상담사, WTPTA교육이사, 경희대학교 겸임교수)
[글 = 세계태권도품새트레이너협회 ㅣ yesjmw@hanmail.net]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작성하기
-
내용은 잘 보았습니다.
스포츠심리학 이란 학위도 있나요?
2019-09-23 15:52:56 수정 삭제 신고
답글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