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권(內家拳), 외가권(外家拳) 그리고 태극권

  

[진영섭의 태극권 이야기 3편]태극권의 유래


무카스에 기고한 글이 중요 인터넷 신문과 포털에도 전재되었다는 말을 듣고 검색을 하던 중 재미있달까 아니면 좀 억울(?)하달까 하는 부분이 있어 태극권과도 무관하지는 않은 글이라 여겨 어느 사이트의 카페에 실린 글을 살짝 퍼왔다.

『태극권은 대표적인 내가권 가운데 하나로 불리는데 사실 내가와 외가의 구분은 좀 애매한 면이 있습니다. 내가삼권이라 하면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을 일컫지만 말이죠. 밝은빛 태극도관의 진영섭 선생은 이러한 내가와 와가의 구분에 대해 새로운 주장을 내놓았는데 내가란 중국 고유의 전통 즉 도가나 유가에 입각한 무술이고 반대로 외가는 외부의 영향 즉 인도의 영향을 받은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불교의 소림권은 인도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외적인 문화이며 때문에 외가권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참으로 신선한 주장이군요』

“신선(?)한 주장”이란 말이 필자에게는 너무나 “신선(?)”하게 다가왔다. 사실을 미리 말하자면 내가(內家)와 외가(外家)에 관한 이 “신선한 주장”은 필자가 임의로 유추하거나 없던 것을 "신선"하게 새로이 만들어낸 주장이 아니라 몇백년 전부터 이미 있던 말이다.

천주봉 정상에 위치하는 금전. 무당산의 가장 독특한 문화재중 하나


소림무술을 달마대사가 창시하였다는 설이 언제부터 비롯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일설에는 청(淸)나라 정부에서 유포한 낭설이라고도 한다. 즉 중국 무술의 시조인 달마는 인도에서 온 외국인이고 이 외국인이 창시한 무술이 중국 무술의 시작이다. 중국을 지배하고 있는 청(淸) 황실은 비록 만주에서 온 이민족인 여진족(女眞族)이다. 그러므로 중국은 무술도 외국에서 가르쳐준 것이고 현재 이민족인 여진족에게 지배를 받을 정도로 열등한 족속이다. 대략 이런 의도로 달마대사가 소림무술을 창시하였고 소림무술은 천하무술의 시발이라는 요지의 낭설을 민간에 퍼뜨렸다는 것이다.

또 일설에는 중국 선종(禪宗)의 시조로 일컬어지는 달마대사의 명성에 기대어 소림무술의 성가를 더 높이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다고도 한다. 달마대사가 숭산(嵩山) 소실봉의 면벽 9년의 수행을 하고나자 다리의 근육이 모두 위축되었는데 자신의 역근세수경(易筋洗髓經)을 단련하여 모두 회복되었다고 한다. 또 달마의 명성을 듣고 찾아와 입문수련하던 제자들이 계속된 정좌수행에 체력과 건강이 손상되어 수행이 어려운 것을 보고 그들의 건강을 회복시키고 수행을 용맹정진할 수 있도록 역근세수경을 단련시켰다고도 한다. 달마 역근세수경에 관련된 신화는 아마도 이 설에서부터 비롯되었을 것이다.

이런 설들의 진위 여부는 지금 가릴 수 없지만 민간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와 같이 믿고 싶어하는 것이 사실이다. 달마가 처음 중국에 도착하여 활동하던 위진남북조 시대의 후기에서 송(宋)왕조에 이르는 시대는 중국의 사상이 급변하고 또 새롭게 정형화된 시기로 평가된다. 외래종교인 불교의 영향으로 인하여 유교가 송나라 때의 주희(朱熹) 등 여러 유학자에 의해 소위 성리학(性理學)으로 변화하였고 이전의 유학과는 다르다 하여 신유학이라고 불렀다.

불교 역시 처음 중국에 전래된 이후로 위진남북조 시대 초기에 불경이 들어오고 또한 번역이 진행되면서 중국에 많은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또한 중국 사상의 영향을 받아 중국불교라고 말해지는 선종, 즉 선불교가 탄생하였고 달마대사를 바로 그 선종의 시조, 초조(初祖)라고 한다. 도교 역시 오래도록 공생해온 유교는 물론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이것은 문화라는 살아있는 생명체가 부단히 새로운 자양분을 받아 진화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중국 내륙 호남성 서북쪽에 위치한 무당산 전경


무술 역시 하나의 문화이다.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또 새로운 권종(拳種)이 탄생하는 것은 부단히 새로운 환경의 변화에 적응한 결과일 것이다. 다만 한 천재가 있어 마지막에 화룡점정, 용 그림에 눈동자를 찍어 넣어 정신을 불어넣는 것이 아닐런지? 그것이 새로운 권종(拳種)이 되거나 혹은 권술이 한 단계 더 진화한 신권술이 되는 것이 아닐까? 마치 태극권처럼.

각설하고, 위에 말한 “설”들이 각각 언제부터 있었는지, 그 신빙성은 어떠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현재 문헌에 남아있는 것에 근거하자면 내가(內家)와 외가(外家)를 나누어서 처음 말한 사람은 전회에도 언급한 황종희이다. 그는 자신이 쓴 《왕정남묘지명》에서 몇 가지 관점을 제시하였다.

즉 소림과 무당을 대비하여 외래의 불교 사상에 기반한 수입무술과 국산인 전통 도가사상에 기반한 전통무술로 대비하여 각각 외가와 내가로 구분하였다. 그래서 소위 “내가권(內家拳)”이란 새로운 권술이 언급되었다. 황종희의 아들인 황백가가 쓴 《왕정남선생전》《내가권법》등의 글에는 물론이고 이역여(李亦畬) 역시 초기에는 이런 논조를 그대로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가 쓴 ‘탐태극권지원(태극권의 근원을 탐색한다는 뜻)’에 이렇게 쓰여있다.

『나는 요재지이(청대(淸代)에 포송령(蒲松齡)이라는 사람이 쓴 책) 14권 이초무기전(李超武技傳)을 읽다가 이 기예의 시말(始末)을 조금 알았다. 왕환상(王渙詳)이 이르기를 “권용(拳勇)의 기예는 소림(少林)을 외가(外家)라 하고 무당(武當) 장삼봉(張三峰)을 내가(內家)라 한다. 장삼봉(張三峰) 이후로 또 관중(關中) 사람 왕종악(王宗岳)이 있고 온주(溫州) 사람 진주동(陳州同)에게 전하였다. 진주동(陳州同)은 명대(明代) 가정(嘉靖) 연간의 사람이다. 그래서 현재 두 사람의 전승으로 절동(浙東) 지역에 성행하고 있다. 순치(順治) 연간 사람 왕래함(王來咸)은 자(字)가 정남(征南)인데 이 기예(技藝)에 가장 두드러졌다. 그는 절강성(浙江省) 은현(鄞縣) 사람이다. 정남(征南)의 제자에는 승이(僧耳)ㆍ승미(僧尾) 등이 있는데 모두 승려이다』

이글에 쓰인 내용은 황종희가 《왕정남묘비명》에서 “내가권은 송의 장삼봉에서 시작되었다”고 한 것과 어우러져 매우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 즉 황종희에 의해 무술과 연결된 장삼봉이 이역여에 의해 태극권과 연결되는 중요한 단서가 되는 글이다. 그것이 비록 이역여가 명(明) 홍치(弘治 : 1488 ~ 1505) 연간의 사람인 왕종(王宗)을 청 건륭(乾隆 : 1736 ~ 1795) 연간의 사람인 왕종악(王宗岳)과 동일 인물이라고 착각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이역여의 이런 착각은 《태극권소서》에서 “태극권은 송의 장삼봉에서 시작되었다”는 두 번째 착각을 낳았으니 단순한 착각으로 치부하기에는 후세에 끼친 영향이 너무 크다. 내가와 외가에 관한 이런 관점은 양징보의 제자인 정만청도 자신이 쓴 《정자태극권자수신법(鄭子太極拳自修新法)》에서 이 설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정만청의 주장을 간략하게 도표로 대비해보자.

[장삼봉 - 무당 시조 - 내가권 - 전통사상 -- 황제 노자의 사상 -- 국산 - 중국인]
[달 마 - 소림 시조 - 외가권 - 외래사상 -- 불교사상 -- 수입품 - 서역인]


그런데 우리가 주의하여야 할 것이 하나 있다. 황종희 부자가 언급한 “내가권”은 마치 당랑권 형의권 등과 같은 하나의 권술 명칭이지 후대에 말하는 내공권 혹은 내가삼권 운운하는 것과는 내용이 전혀 다르다.(계속)

[내가권, 외가권 그리고 태극권 칼럼 2부는 월요일(14일)에 연속 연재될 예정입니다]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영섭 #태극권 #밝은빛 #장삼봉 #양로선 #무우양 #칼럼 #진씨태극권 #양씨태극권

댓글 작성하기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
  • 달마

    달마는 상상의 스님

    2008-07-08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소림창시자초우선사

    소림무술의 창시자는 달마대사가 아닌 초우선사로 고증되었습니다. 이미 국내 기사로 알려진 내용이기도 하구요. 소림무술 창시설을 좀더 다뤄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08-07-08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