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무술명소]송산 소림사
발행일자 : 2000-10-13 00:00:00
형준 기자


[중국 무술명소]송산 소림사
1. 소림사는 어떤 불교 사원인가?

소림사는 중화오악(中華五岳,중국 5대 명산) 중의 하나인 송산에 위치하고 있다. 정확하게 말하면 중국 하남(河南)성 등봉(登封)시에서 북서쪽으로 12km, 산림(山林)이 울창한 소실산(少室山, 송산의 일부)에 있어서 이름이 이에 따라서 지어졌다.
BC 495년, 중국 북위(北魏)나라 때 효문(孝文) 황제가 수도를 낙양(洛陽)으로 옮기면서 소림사를 설립했다. 32년 후 석가모니(Sakyamuni) 부처님의 28대 제자인 달마(Dharma) 고승(高僧)이 중국에 와서 선종(禪宗, 불교 종파 중의 하나)을 전수하기 시작했다.
9년 동안 중국에서 수련을 하면서 중국 본토에 맞는 선종하고 소림사 무술을 창립했다. 이에 따라서 사원이 점점 커지고 승려도 많아지면서 소림사는 이름나기 시작했다.
달마 고승은 중국 불교 선종의 개종조이고 소림사는 선종의 개종지라고 한다. 역사 속에서 소림사는 조정과의 관계가 긴밀하고 정부의 많은 지지를 받으면서 당나라 때 중국 내외에서 이름난 큰 불교 사원으로 발전됐다."천하 제일 유명한 절"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송나라 때 소림무술도 크게 향상되었고 승려가 2천여명에 달했다. 명나라 때가 소림사 발전의 정상이며 청나라 때부터 쇠락하기 시작했다.
2. 불교 사원인데 왜 무술을 하는가?

"천하에서 무술은 소림무술이다". 소림무술은 중국 무술의 중요한 일부다. "권(拳)은 절로 유명하고 절은 권으로 이름난다". 오늘 날 소림무술은 전 세계에서 알려져 있고 소림 제자는 세계 곳곳에 퍼져 있다. 소림무술 발달의 원인은 그의 기원과 발전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1) 기원적 원인
위의 글에서 소개했듯이 소림사에서는 불교 종파 중의 하나인 선종(禪宗)을 믿는다. 선은 일종의 불교적 이념이라고 보면 된다. 선종의 수행 방법은 "좌선 벽관"(坐禪 壁觀)이다. 즉 벽하고 마주 앉아서 정신을 집중하여 무념무상(無念無想)의 상태에 들어가는 것이다.
오랫동안 다리를 굴하여 앉는 것은 아주 쉽게 피곤하게 되는 것이라서 승려들은 무술을 하면서 몸을 푸는 것이다. 그래서 소림권은 달마(Dharma) 고승이 창조한 것이라는 전설이 있다.
이에 의하면 소림사는 처음부터 선(禪)하고 무(武)의 세계라고 쉽게 알 수 있으며 "禪武同源, 禪拳歸一"이란 말도 있다. 즉, 선은 무의 주(主)가 되는 거고 무는 선의 용(用,사용/용도)이 되는 거다. 다시 말하면 무는 선의 표현이고 선적(禪的) 생명의 유형화이며 선은 무의 정신적 본질이고 선으로부터 무에 진입하는 것은 무술의 최고 경계에 달할 수 있는 것이다.
(2) 지리적 원인
소림사 소재지인 송산은 중국의 중원(中原,옛날 중국의 중심 지역)에 있고 9개 나라의 수도였뎐 낙양(洛陽)하고 아주 가깝고 지리가 험하다. 少林中은 옛날 낙양에서 남동쪽 넓은 평야 지대로 통하는 데 필히 경유하는 곳이며 軒轅關은 진(秦)나라/한(漢)나라 때에 8대 관(關) 중의 하나였다. 그래서 고대로부터 여기는 군사에 있어서 반드시 싸워 얻어야 되는 곳이었다. 성세(盛世) 때는 황제 유람, 문인 등반의 명소였고 난세(亂世) 때는 군사 역량이 출입하고 모이는 장소였다.
(3)역사적 원인
송산 중심에 있는 소림사는 황제 명령 아래 창립한 절이라서 사실은 "왕실 사원"이었다. 그래서 아주 큰 절로서 송산 지역의 모든 절과 암자를 통할하고 있었고 사원전과 재산이 엄청 많았다. 그리고 조정의 허락을 받아서 자기의 상비 무장역량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바로 중국 역사 속에서 유명한 "승병"(僧兵,스님 병사).
소림사 승병의 존재는 소림무술의 발원과 발전의 기본적 조건이었으며 왕가 사원으로서 조정과의 관계와 사회적 지위는 소림무술이 높은 수준에 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였다.
소림무술과 관한 역사 이야기가 많다. 당나라의 개조 황제인 태종은 나라를 수립할 때 소림사에서 많은 군사적 도움을 받아서 亶宗이란 스님을 대장군으로 봉하고 유별히 소림사가 승병을 보유하고 훈련시킬 수 있도록 허락했다.
재미있는 게 태종은 소림사 스님에게 생살권도 주고 술과 고기도 먹을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소림무술 발전의 정상 시기인 명 나라 때 소림 승병은 조정에서 명령을 받아서 중국 동남 해안 지역에서 일본 해적과 싸웠다. 용맹하고 공훈이 많았으며 月空이란 스님이 나라를 위하여 몸을 바쳤다.
종합해서 말하면 소림무술은 선과 무의 결합으로써 내용이 넓고 깊다. 선으로부터 무에 진입하며 무를 하면서 선을 수련하는 것이다. 소림무술은 절대 호신/강신(護身/强身)을 위해서 할 뿐이 아니고 작게 말하면 선을 수련하기도 하고 도를 닦기도 하는 것이며 크게 말하면 사원을 보호하기도 하고 나라와 중생을 보답하기도 하는 것이다. 소위 "무술 선(武術 禪)"이란 게 바로 이런 것이다.
3. 볼 만한 데가 많은가?
1. 소림사 정문
少室山에 위치하고 있고 少室山의 주봉 해발 높이 1512m. "少林寺" 이 세 글자는 중국에서 아주 유명한 康熙 황제의 친필이다. 여기서 무술 영화도 많이 찍고 중국 내외의 내빈과 일반 대중을 위하여 쇼도 많이 한다.
2. 소림사 무술관
소림사 동쪽으로 700m, 쇼홀은 3448m2 , 관중석 560 개. 1988년 9월 개관 이래 10여개 나라의 백여 명의 무술 선호자가 여기 와서 무술을 배워갔다.
3. 탑림(塔林)

소림사 서쪽으로 300m. 소림사 스님들의 묘지이며 시체는 지하로 매립하고 위에는 탑을 만들어주었는데 공덕을 표한다는 뜻이다. 지금까지 중국 당/송/원/명/청 나라 때의 묘 탑이 240개 여러 가지 형태로존재하고 있다.
4. 첨성대(瞻星臺)
중국 호남성 등봉시 동남쪽 15km중국 원나라 때 유명한 천문학자인 郭守敬이 만든 것이며 중국 현재까지 최고(最古)의 또한 세계에서 유명한 천문학 건물이다. 이에 의하여 郭守敬이 그 당시 세계에서 가장 선진한 역법 "授時歷"을 만들었다.




댓글 작성하기
-
숭산(崇山)아니우?
내가 잘못 알고 있었나?2001-09-10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소림사는 좋조...
근디 너무나 혹독한 훌련을 한번씩 바다보는것은 좋은듯함니다.
소림사야 뭐~~ 항상 힘들게 하구
소림사만 생각하면은 저는 운동을 하는 것도 아닌것 같아여~~
힘든것 생각하다가도 소림사만 생각하면은 하나두 않힘들다니깐영~~
한번쯤 소림사에 견학을 좀 가봤으면은 좋겠습니다.
근데 가능할까여? 불가능 하겠져?
하지만은 태권도도 열씨미 해서 태권도의 길이길이 남은
도인의 길을 걸을겁니다. 그것이 저의 꿈이기도 하지요~~
감사합니당~~ ^^;
힘들당...2000-10-13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