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선도 이야기] 청한자(淸寒子) 김시습

  

정현축의 국선도 이야기 39


청한자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은 신동(神童)으로 태어나, 나이 5세에 이미 세종대왕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나라의 큰 재목으로 쓰이기로 결정되었던 인물이다.

그래서 나라 사람들은 다들 이름을 부르지 않고, 다만 ‘5세’ 또는 ‘김5세’라고만 불렀다. 설악산의 ‘오세암’은 바로 김시습이 지어 공부했던 암자이다.

청한자 김시습은 태어나면서부터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줄곳 우리민족 고유의 도(道)인 천웅도(天雄道, 화랑도의 근원) 전수자인 영해박씨(寧海朴氏) 가문의 종사(宗嗣))에게서 특별한 보살핌을 받으며 정통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을 받았다.

신라의 김춘추와 김유신 그리고 고운(孤雲) 최치원, 고려의 강감찬과 곽여 등도 영해 박씨 가문의 종사에게서 수업을 받은 사람들이다.

청한자 김시습은 서울 반궁(泮宮, 지금의 서울 명륜동 성균관)에서 태어났는데, 그가 태어나던 날 밤 같은 마을에 살던 영해 박씨들은 그 집에서 공자(孔子)가 태어나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그래서 다음날 아침 가보니, 과연 아기가 태어나 있었다고 한다.

아기는 총명하여 태어난 지 8개월 만에 저절로 글을 알고, 3세가 되자 시(詩)를 자유로이 지었는데, 유모가 맷돌에 보리를 가는 것을 보며 이런 시(詩)를 지었다.

우레 소리도 없는데 어인 천둥인가. 無雨雷聲何處動
노란 구름 조각들이 사방에 흩어지네. 黃雲片片四方分


그리고 5세에는 문리(文理)를 깨달았으며, 《중용中庸》《대학大學》에도 통달하였다. 그러자 이름난 정승 허조(許稠)가 찾아와 말을 시켰다.

“내 늙었으니, 늙을 노(老)자로 시를 지어 보라.”
“늙은 나무에 꽃이 피니, 마음은 늙지 않았네.(老木開花心不老)”

김시습의 즉각적인 시작(詩作)에 허 정승은 연발 무릎을 치며 ‘신동(神童)’이라고 감탄사를 연발하였다고 한다. 그 다음에는 세종대왕이 대궐로 불러 시험하셨다.

“동자의 학문은 마치 백학(白鶴)이 푸른 소나무 끝에서 춤을 추는 것 같구나.”
“어진 임금님의 덕(德)은 마치 황룡(黃龍)이 푸른 바다 가운데서 노는 것 같습니다.”

이에 세종대왕이 기뻐하시며 비단 50필을 하사 하시고, 그 집에 일러 아이의 재덕(才德)을 감춰 기르라 하시며, 장차 크게 쓰겠다고 하셨다.

그리하여 김시습이 학문에 전념하고 있을 때, 세종대왕과 문종이 잇달아 세상을 뜨시니, 어린 단종이 나이 12세에 왕위에 올랐다.

그러자 숙부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조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니, 이때 김시습의 나이는 21세였다.

삼각산 중흥사에서 과거공부를 하다가 단종의 손위(遜位) 소식을 들은 김시습은 대성통곡하며 모든 책을 불태워 버리고 종적을 감추어 버렸다.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사건은 김시습의 생애에서 숙명적인 분기점이 되었다. 아직 세파에 때가 묻지 않은 21세라는 그의 나이는 불의(不義)에 의해 정도(正道)가 무너지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다.

김시습은 세조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육신(死六臣)의 시신을 수습하여 노량진에 묻어 주었다. 이에 후대 사람들은 살벌하고 무서운 시대에 두려움 없이 사육신의 시신을 수습하여 묻어준 절의(節義)를 높이 사서, 김시습을 생육신(生六臣)으로 추대하였다.

김시습은 또 단종이 암살되자 계룡산 동학사에 몇몇이 모여 남몰래 제사를 모시고, 절의(節義)를 지켜 영원히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이때의 일을 그는 이렇게 적었다.

‘갑자기 충격적인 일을 당하자, 나는 생각했다. 대장부가 이 세상에 태어나서 자기 뜻을 실행할 수 있는데도 물러나 자기 몸만을 깨끗히 하여 도덕과 윤리를 저버린다면, 이는 수치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자기 뜻을 실행 할 수 없을 바에는 차라리 제 한 몸이나 깨끗이 하는 것이 나으리라.’

이렇게 세속을 떠난 김시습은 한동안 영해 박씨들과 행동을 같이 하다가, 나중에 설현(偰賢)을 만나 한계산(寒溪山)에서 연단법(煉丹法)을 수련하게 된다. 설현은 본래 원나라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권진인(權眞人)으로부터 도(道) 공부를 한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권진인은 김시습의 사조(師祖)가 된다.

김시습은 설현에게 선도(仙道)를 배운지 1년 만에 단(丹)을 이루었으며, 다시 금강산에 들어가 9년을 수련하여 득도하였다.

또한 김시습은 10여 년에 걸쳐 신라의 화랑들처럼 전국 국토순례(國土巡禮)를 하였다. 그리고 경주 금오산에서 7년 동안 묻혀 저술에 몰두하였으니, 이때 탄생한 것이 바로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金鰲新話)》였다.

《금오신화》는 부정한 현실체제에 합류할 수 없었던 그의 이상(理想)과 그동안 전국을 순례하면서 얻은 신선사상(神仙思想)의 영감(靈感)이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이렇게 7년 동안 《금오신화》를 완성한 김시습은 그것을 석실(石室) 속에 감춰두며 이렇게 말했다. “후세에 반드시 나를 알아줄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금오신화》를 바로 발표하지 못하고 ‘때’를 기다려야만 했을까?

조선시대는 주자학(朱子學)을 숭상하고 유교(儒敎)를 국교(國敎)로 삼은 왕조였다. 그러므로 유교 이외의 사상(思想)은 모두 이단(異端)으로 취급하였다. 그리하여 자칫 잘못하다가는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몰려 영영 매장당하는 시대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김시습은 스스로도 만족할만한 《금오신화》를 집필하였지만, 그 작품 속에 들어있는 선도사상(仙道思想) 때문에 바로 발표하지 못하고 ‘때’를 기다려야만 했던 것이다.

선도(仙道)의 특성 자체가 밀의적(密意的) 비전성(秘傳性)을 띠는 데다가, 조선조의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으로 인해 청한자 김시습은 자신의 진면목을 두꺼운 베일 속에 감추었다.

김시습은 미친 사람처럼 행세하였으며, 와서 배우려는 자가 있으면 나무나 돌로 치려하고, 활을 당겨 쏘려고도 하며 그 성의를 시험하였다. 또 비단옷을 입는 집의 자제라도 반드시 일을 시켰다.

그리고 산에 살면서 나그네를 만나면 서울에서 자기를 어떻게 평하더냐고 물었다. 그래서 “사람들이 욕하고 나무란다.” 하면 반드시 얼굴에 기뻐하는 빛을 지었고, 만일 “거짓 미친 체하고, 속에는 딴 마음이 있어 그런다.” 하는 말을 들으면 눈썹을 찡그리고 기뻐하지 않았다.

그런가 하면 아무런 벼슬도 하지 않았던 청한자 김시습이 누더기에 패랭이를 쓰고 14세 연상의 대제학 서거정(徐居正)이 타고 가는 가마에 거침없이 다가가 서거정의 호를 부르며 수작을 하였다.
“강중(剛中)은 편안한가?”

그러면 대제학 서거정이 가마를 세우고 김시습과 한참 대화를 나누는 모습에, 세상 사람들은 눈을 둥그렇게 뜨고 바라보았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또 40세 연상인 집현전 부제학 조상치(曺尙治)와도 허물없이 친구로 지내는가 하면 김수온(1410~1481), 서거정(1420~1488), 홍윤성(1425~1475) 등 모두 나이 많은 고관대작들이 김시습(1435~1493)을 깍듯하게 대접하며 상석(上席)에 앉혔다고 한다.

이는 김시습이 5세 신동(神童)이라거나, 유불도에 통달한 학자 내지 도인(道人)이어서만은 아닐 것이다. 정도(正道)를 수행(修行)하는 힘, 즉 기세(氣勢)에서 항상 청한자 김시습이 여타의 인물들보다 우위를 차지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청한자 김시습은 나라에서 명성이 자자했던 신동이자 천재였지만, 세조가 불의로 왕위를 찬탈하자 서책을 모두 불사르고 관직에 나가기를 거침없이 접었다. 그리고 사육신(死六臣)이 몰살당했을 때도, 김시습만이 홀로 두려움 없이 사육신의 시신을 수습하여 노량진에 묻어 주었던 것이다.

이렇게 굽힐 줄 모르는 굳센 기세(氣勢)를 가졌던 청한자 김시습은 승려의 신분으로서 운명할 때에도 선도(仙道)의 시해선(尸解仙)으로서 마지막 삶을 끝마무리 하였다.

시해선(尸解仙)은 바로 지상선(地上仙)이었으니, 그로 인해 청한자 김시습이 조선시대 선도(仙道)의 비조(鼻祖)로 꼽히고 있는 것이다.

그가 운명할 때 승려의 신분으로 마땅히 불교의식에 따라 화장(火葬)을 해야 했으나, 그는 이렇게 유언하였다.
“내가 죽거든 화장(火葬) 하지 말고, 땅에 묻으라.”

그래서 절 옆에 임시로 묻었다가 3년 후에 장사지내려고 그 빈소를 여니, 얼굴이나 모든 것이 생시 모습 그대로였다. 바로 선도(仙道)의 시해선(尸解仙)이 된 것이었다.

이를 두고 율곡 이이(李珥)는 이렇게 말하였다.
“필경 외도(外道=仙道)를 닦은 때문에, 죽었어도 살았을 때처럼 모습이 그런 것이다.”



* 위 내용은 외부 기고문으로 본지 편집방향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글 = 정현축 원장 ㅣ 국선도 계룡수련원]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선도 #김시습 #청한자 #최치원

댓글 작성하기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
  • 나그네

    임신선님, 지나가다님, 반갑습니다.^*^

    2013-04-25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임신선

    와우..... 기다렸습니다.
    요즈음은 모든게 스토리가 있나 없나...... 스토리 텔레킹 시대이지요.

    2013-04-25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사범

    검색창에 세계국선도연맹 .. 을 치시면 전국 수련원이 안내 됩니다. ^^

    2013-04-23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지나가다

    참.. 신기하네요... 선도수련이라... 국선도를 애기하는건가요?~~~ 국선도를 배울려면.. 어디로 가야하나요?~~~ 배우고 싶네....

    2013-04-23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애독자

    와우 ! 눈 빠지는 줄 알았어여 ~

    2013-04-23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지나다

    오랜만이군요! 3개월만에 다시 올라왔군요.. 무카스에 무슨 내부 사정이 있었나요?

    2013-04-22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