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려차기를 잘 하려면...
발행일자 : 2001-06-16 00:00:00
석부길 기자



하지만 태권도의 돌려차기는 스탠스를 어깨 넓이 정도로 하여 지지발의 고관절을 축으로 하여 골반의 회전을 일으키고, 반대쪽 손과 상체는 골반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체적으로 비틀림이 일어나 반작용을 유발합니다.
동시에 고관절과 슬관절을 최대로 굴곡하여 목표물에 도달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최대의 신전력이 일어 나도록 하여 마지막 순간 최대의 신전이 일어나면서 목표물을 가격하게 하는 것이죠.(참조:태권도의 과학 류병관)
돌려차기는 태권도 발차기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발차기로서 방법에 대해서 쉽게 쓰자면, 기본자세에서 무릎을 들어 접으면서 한 걸음 앞으로 뛰어 나아가는 형식으로 그 속도를 이용하여 허리를 최대한 빠르게 틀어주고 틀어주는 힘과 무릎이 올라오는 가속도를 이용해서 무릎을 튀겨서 차는 것입니다.찬 후에는 무릎을 굽혀서 안정을 유지하는 것구요.(참조:태권도론 강성철)
이해가 되셨는지... 밑에서 부터 걷어찬다는 생각으로 돌려차기를 행한다면 이는 돌려차기가 아닌거죠. 몸에 힘이 전혀 전달되지 않는 발의 힘으로만 차는 발차기인거죠.

즉, 이런 발차기는 제대로 된 돌려차기가 아니죠. 어떤 분들은 무릎을 차는 반대발 쪽으로 향하게 하고 차라고들 하시는데... 이는 내전을 말하는 것입니다.
발을 안쪽으로 내전시키면 발차기시 차는 발이 최대한 지지발에 더욱 붙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하나. 바로 회전력입니다. mv²/r 이게 원심력 공식인데, r은 반지름, m은 질량(무게), v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빠른 속도에 높은 질량(무게)으로 차는 것인데 반지름이 크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분자인 속도와 질량값이 아무리 좋아도 분모인 반지름이 크면 힘의 전달이 많이 떨어지게 되겠죠.
즉, 분모가 크면 클수록 떨어지겠죠. 질량과 스피드가 아무리 좋아봤자 발차기시 회전반경이 크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다른 무술의 발차기들은 회전반경이 크기 때문에 실제적인 힘의 전달면에서 태권도의 발차기에 많이 뒤지는 거죠.
따라서 최대한 지지발에 붙어서 차야 합니다. 발의 내전과 함께요. 그리고 밑에서부터 걷어올린다는 생각은 버리십시요. 내전을 시키고 무릎을 접어올린 후 몸을 회전시키고 수평으로 목표물을 찬다고 생각하십시요.

참, 그리고 몸으로 차고 몸으로 지른다는 생각을 가지십시오. 태권도는 고관절, 슬관절, 거관절의 순서로 각 분절의 속도가 증가하게 하여 마지막 발이 목표를 가격할 때 최대의 속도가 나오도록 차는 것이니까요.
즉, 어깨와 둔부의 교호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대퇴, 하퇴, 발로 이어지는 전이가 타격시에 최대의 발끝속도와 충격력을 만들어 주는 것이죠. 이렇듯 온 몸을 이용한 발차기가 제대로 수행된 발차기이죠.
또한 발을 찰때 바닥을 미는 힘이 중요합니다. 맨 위에 적은 무릎을 접어 이전에 찰 때 지면반력을 이용해야 하는 겁니다.
바닥을 밀어차면 더욱더 많은 힘이 목표물에 전달되게 되니까 말이지요 다시 말해 외력을 이용한다는 말이지요. 알고 수련하는 것과 모르고 수련하는 것은 천지 차이입니다.
올바른 돌려차기 방법으로서 수련의 극대화를 이루시기를 바랍니다.


댓글 작성하기
-
안녕하세요?
석부길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제글에 들어와봤네요..
이 기사글은 제가 작년에(2001년) 쓴것이라 개인적으로 거의 8개월만에 들어와 보는것 같군요...
제글 발차기를 빠르게 하려면 그리고 태권도에서 돌려차기가 중요한 이유라는 글을 보시면 님이 언급하신 근력강화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대퇴직근이 돌려차기시 힘과 속도를 내는데 매우 중요한 근육이지요.
특히 이 근육은 빠르게 발차기를 하려고 할 시 필수조건이지요....
아마 발차기를 빠르게 하려면 기사글의 독자의견에 제가 어떠한 방법으로 대퇴직근을 강화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언급이 되어있을 것입니다..
님이 말한대로 역시 대퇴직근의 발달에는 웨이트트레이닝 방법으로서 스쿼트가 가장 유효합니다...
아직 학사출신이라 부족한면이 많은데 이렇게 님께서 글을 주시니 너무나 고맙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하나님의 축복이 함께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2002-11-04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돌려차기를 잘 하기위해서는 Quad 근육의 근력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미국에서 쓴 석사논문(곧 Journal of Sports Science에 투고 예정)에 의하면, 초보자를 대상으로 5주간 돌려차기 pattern 변화를 살펴본 결과, Fast Knee extension과 돌려차기 스피드와 아주 깊은 상관관계가 나왔습니다. fast knee extension을 하기 위해서는 근력훈련(Squat이나 knee extension)을 통해 일단 근력을 키우는 것이 필수요소라고 생각됩니다.
2002-10-10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태권도열심이하시고 회전력의돌려차기 열심이연습해서 시합때도 쓰고 발차기 할때도 쓰고 이론이좋다
2001-09-07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열심히 배워 보겠습니다.
잘 가리켜 주세요.2001-08-01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어깨로 인해서... 동작을 읽힌다구요?--;;...
그렇다면... 어디선가 들어본적이 있는데... 어깨를 안움직이구...
발로 차는... 무술을... -_-;; 한 번 해보시죠.
어깨 안움직이구... 앞차기라든가... 하핫-_-;;
차라리 발 안차고 말죠. 어차피 사람 동체시력엔 한계가 있는지라... 그리고 동체시력이 빠르다고 해도 발차기는 몸을 가격하므로... 고로-.-;
공격을 조금 읽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직접적으로 피하는건 만만치 않겠죠. 게다가 태권도 겨루기에서는 몸과 얼굴쪽이겠지만 실전에서는 하단쪽도 상당히 경계해야겠죠. 무릎쪽이 아니더라도 허벅지를 맞고 통증에 경기지체가 된 일이 종종 있습니닷(태권도 경기에서말이죠. 실수라고 말할 수도;;).
그리고 겨루기... 님께서 말하시는 개발차기가 된건... 솔직히 스포츠성을 강요한 수출태권도(제가 생각하는)에 적합하게 구성되가는것이겠지요. 그래서 겨루기 선수들이 외국의 실전격투대회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일단... 보통 태권도 사범들에 비해서 부진한 기본기술과... 주력으로 쓰는(쓰는데 익숙한) 앞돌려차기는... 한방기를 노리는 복싱계열의 파이터들에게는 너무나 행복한 기술이겠죠. 그렇다고 빈틈없이 종알종알 차고 빠지다가는... -___-;; 차암... 김빠지는 게임이... 겨루기에서 찬 다음에 거리가 좁혀져 붙는 상황이... 실전격투대회에서는 바로 끝나있는 상황이죠. 왠만한 겨루기 선수에겐.
흐음;;... 좀 주관적인 생각도 들어가서... 흠.
그럼.2001-07-02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전 태권도를 직접 본적이 한번도 없습니다.(TV로 밖에)
그래서 헷갈리는 부분이 많습니다.
분명 이것뿐이 아니라 다른 것도 그럴것입니다.
다음부터라도 이런 내용은 그림 위주로 해서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돌려차기도 따로 그림을 주시면(메일로...) 감사하겠습니다. 그럼(^^)(__)
2001-06-28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그런데여...저기.. 죄송하지만...
제가 주어듣기론 기사내용이 백번 맞지만 실전에선 그러니까 겨루기를
할땐 좀 다르다고 하던데여...태권도 선수들은 대부분 일명 "개발차기"
를 한다고 들었습니당. (죄송,,,)그이유는 시합에선 파괴력도 중요하지만
속도와 정확성이 더 중요하다는 이유라고 하더군여...
그래서 정확한 발차기를 할경우 고수가 아니라면 속도가 떨어진다고 하더군여.그리구 개인의 차는 있지만 어깨가 차려는 순간 돌아가기 때믄에 상대에 게 노출된다고 하더군여 ,그래서 자세히 보면 엉성하 개발차기를 한다고 들었습니당,,, 재가 한 이야기가 틀리다면 누가 바로잡아 주셔여...
ㄱ ㅏ ㅅ ㅏ ㄷ ㅏ
ㅁ ㅁ ....2001-06-22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저만큼 차는군요
2001-06-20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제가 제대로 하고 있었네요???
2001-06-20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다리를 높이올리고 몸을 약간 비틀어주면 된다.
2001-06-17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전 돌려차기가 잘안나옵니다...
상체가 뒤로 빠지고....
이것을 보니 더욱더 열심히 해야 겠다 생각 했습니다2001-06-17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고맙습니다!
돌려차기 방법이 무척이나 궁굼해 하고 있는 찰나였는데, 이렇게 글이 올라오다니.
열심히 수련해서 돌려차기 잘하겠슴당~~^^
2001-06-16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 -
오늘 물리시간에 회전운동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태권도와 함께 하는 물리라서 왠지 재미가 있더군요^^*
그런데 원운동에서 반지름의 크기가 회전력과 반비례하는것 같아 의아해했었는데... 약간은 확신을 갖게 해주셨군요~ 석부길님 감사합니다...
~~~~~~~~~~~~~~~~~~~~~~~~~~~~~~~~~~~~~~~~~~~~~~~~~~~~~~~~~~~~~~~~~~~~~
아... 그런데 또... 물리운동에 대한 궁금증이...
그렇다면... 다리가 긴 사람은 불리하다는게 되는건가요?
다리 긴 사람은 많이 움직이는 만큼 위력이 더 셀것 같은데...
전 그렇게 생각해왔었거든요...
뒤돌려차기의 속성도 알려주셨으면 해요... 뒤후려차기가 이론적으로라면 수련후에는 더 위력적으로 변하는것인지...
뒤돌려차기는 지금까지 제가 생각하기로는 스피드보다는 체중이 실린 무게 발차기라고 생각했거든요... 스피드 < 회전반경과 무게...
라고 생각했었는데... 틀린건지...
물론 가벼우신 분들은 스피드쪽이시겠지만...;;
뒤돌려차기는 어떤 이점을 이용해서 차는거죠??...2001-06-16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