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세 운동은 어떻게 수련할까?


  

의기운동- 의식, 의념(意念)과 기(氣)가 함께 이끌어가는 주체.

신법중정(身法中正)의 핵심 이론 7개?

 

기효신서(1562)로 시작된 권법사료는 무편(1562), 강남경략(1568) 진기(1591)등이 명나라 때 존재 했었다.

실전적 가치를 논하던 기효신서《권경》와 무편《권》 등 이후 청나라 때 와서 대다수 권법이론서들이 육합론, 중기론, 태극음양론, 내외겸수론에 집중했고 새로운 권술의 형태로 발달 하여 권술수련의 문화발달과 권술의 이론화에 지평을 열었는데, 이 당시 손록당의 『권의술진』은 이론화의 절정에 있었다고 양진방 교수는 설명했다.

양진방교수가 권론의 발달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의기운동론은 즉 의식, 의념(意念)과 기(氣)가 품새를 연무할 때 움직임을 이끌어가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강조한 이론이다.

예컨대 품세의 연무는 암기된 동작을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을 집중시켜 동작의 흐름과 운동감의 의념을 집중시켜 움직임을 함께 이끌어 가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품세운동은 의기운동과 안과 밖을 함께 수련한다는 내외겸수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어느 하나도 소홀히 수련하면 안된다고 강조한다.

2011년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엄재영사범)

그 중에서 몸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인 신법중정(身法中正)의 핵심이론은 7개로 되어 있다.

 

-신법중정(身法中正) 핵심 7개-

입신중정(立身中正) → 몸을 올바르게 세우기, 즉 신법의 요점.

심정체송(心靜體松): → 마음을 고요히 하고 몸의 힘을 빼기

허령정경 (虛領頂勁):→ 머리와 목을 바르게 가짐.(정두현: 頂頭懸)

기침단전(氣沉丹田):→ 단전에 기 가라앉히기.[虛領頂勁, 氣沉丹田]

함흉발배(含胸拔背):→ 가슴은 가볍게 안고 등은 내밀기.

침견추주(沉肩垂肘):→ 어깨와 팔꿈치 내리기

상하일조선(上下一條線):→ 온몸 일직선으로 하기.

등 7개로 되어 있다. 이처럼 품세운동의 이론화는 그럴 듯 하고 멋있게 표현되어 있지만 우리말로 해석하기는 쉽지 않은 표현임에는 틀림없다.

 

26부에 계속..........

 

- 외부 기고문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무카스미디어 = 엄재영 태권도 칼럼리스트 ㅣ kaikans@hanmail.net]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엄재영
현)대망태권도관장.
현)대한태권도협회 이사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 금메달(2011)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 금메달(2020)
아시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금메달(2022)
전)북경체육대학교 교수
대한민국 체육훈장 기린장 수훈
#양진방 #대한태권도협회 #국기원 #태권도역사 #세계태권도연맹 #입신중정 #의기운동 #품새

댓글 작성하기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
  • 통통통깡

    무통주사 태권주해 무예도보태권통지?
    ㅇ~ㅎ~

    2024-06-15 03:25:43 수정 삭제 신고

    답글 0
  • 문화의잔재

    전통의 정의

    전통은 전해 내려오는(傳) 계통(統), 즉 후세에 계승된 과거의 생활양식과 문화, 제도와 이념 등을 말함.

    어떤 사실이 시간성(역사성)과 공간성(보편성, 집단성)을 확보하여 전하여 내려가는 계통.

    지난 세대로부터 형성되어 전하여지는 생활(의식주) 양식과 내용을 비롯한 기술, 학문, 예술, 도덕, 종교 등의 물질적 정신적 양면에 걸친 양식과 내용.



    전통이란 무엇인가



    전통은 변화하는 것, 정체성도 변화, 전통은 만들어 가는 것.

    정신적 전통, 물질적 전통.

    긍정적 역할을 할 때 긍정적 전통 형성. 부정적 역할을 할 때 부정적 전통 형성.

    지식과 정보사회, 창조력이 좌우, 전통에 기반 했을 때 창조력이 나옴.



    전통 역시 생성, 변화, 발전, 소멸하는 역사적 산물.

    한국의 전통

    1) 민간신앙적 전통

    2) 불교적 전통

    3) 유교적 전통

    4) 기독교적 전통

    조선시대 전통



    1) 왕실문화

    2) 양반문화

    3) 서민문화

    정신적 전통과 물질적 전통

    긍정적 전통과 부정적 전통



    6. 사람의 덕목



    1) 지행합일

    2) 명분 (학문을 바탕으로 실천을 하면서)

    3) 예>법

    4) 근검절약

    5) 공과 사의 구별

    지도층의 덕목 : 예의염치



    우리나라의현대무술의전통

    일본도장-띠-승급-단-예법문화

    무도문화의다습 잔재

    2024-06-14 11:23:58 수정 삭제 신고

    답글 0
  • 뿌리의한

    가라테품세-가라테품세도-띠-도장-문화의잠식-정신-문화의힘-무도정신
    사무랑-사무라이-백제-백제의후손
    백제의한-에도시대관습

    2024-06-14 03:01:43 수정 삭제 신고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