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올림픽 향한 꿈, 무주서 시작… 난민 태권도 선수들 ‘We Are The One’ 훈련캠프 참가
3<내일은 태권왕> 美 프로미식축구리그 NFL 오프닝 쇼 무대 올라
4용인대 박사과정 권석무, 남북 문화교류 논문 공모전 우수상
5세계태권도연맹, AI·AR·3D 접목한 차세대 교육 플랫폼 구축 나선다
논쟁기사
1[곽택용의 태권도다움] 쉴틈없는 태권도대회, 이대로 괜찮은가?
2<발언대> 태권도 품새 경기, 박진감-공정성 높이는 세 가지 제안
3용인대 박사과정 권석무, 남북 문화교류 논문 공모전 우수상
4“국민 스포츠복지 확대, 입법·제도 개선이 핵심”
5태권도원배 장유진·이은총 금빛 활약… 충남도청 종합우승
독자의견
08-22
참고로 무카스 댓글 달면 아이디 추적 됩니다^^문제점1, 곽태용 교수와 댓글분 말이 맞습니다.2, 각대학에서 주최 하는 대회 왜 지방에서만 열릴까요?선수들은 참가 대학 입학목표로 숙박 등 많은 지출하죠. 중요한 것 이걸 이용하는 대학입니다.3, 출전하는 선수들에게 대회 참가하는숙박비.대회참가비등~~이해가 안 되는 게 수도권에 선수들이 많은데,왜굿이 지방 에서. 대회를 총장기 대회을?.문제점 수도권에서 열면지방에서 오는 학생들은 대학 기숙사 등을 이용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방학이용 대회.4, 아이들이 학교 목표가 어디일까요?올림픽 메달로 정리하겠습니다. 첫 번째로 한체제 두 번째로 경희대 세 번째로 동아대.이 점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대학입니다.5, 하지만 대학은? 수도권 대학 한,경,용이지요.6, 제가 국회의원에게 문제점을 이야기했지만.아무 의미가 없더라구요. 자 열심히 자기 일 하시고 제가 한 가지. 이야기하고싶은부분 2 학기부터 정말.힘들어질 겁니다, ㄱ제가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빨리 뭐를 해야 될지 아실 겁니다. 열심히 해서 남은 인생 밥 먹고 살아야죠^^~~~
08-20
훌륭합니다.
08-20
새로오신 교수님이신가 봐요 ㅋㅋㅋ
당연히 정년에 태권도전공 하셨겠죠 ???
용인대와 용인대 교수님들에 대해 좋은말씀 많이 하시리라 봅니다 ㅋㅋㅋ
08-19
현직 코치로서 선수들이 대회에 많은 기회가 주어지는 것에 좋은 점이 많이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
코로나때 대회 하기위해 정말 노력하고 힘들게 했는데 이제는 대회가 많다고 느끼는것도 우리가 힘들 때를 잊었나 생각도 듭니다.
허나 정말 대회가 많습니다. 대회장에서 바로 다음대회장으로 이동하고 또 학교에 돌아와서는 며칠 훈련도 못하고 바로 대회가고 이게 반복입니다.
물론 겨루기 고등학생들과 품새, 격파 선수들에 해당하는거 일 수는 있습니다.
대회 입상실적이 상위팀으로 진학하는데 꼭 필요하니까 그런거 같기도 합니다.
과거 10여년 전에는 학기 중 대회는 3회만 출전할 수 있는 제도가 있었는데 과거 처럼 대한태권도협회 주관 대회는 제한없이 뛰고 이외 시도협회, 연맹, 대학총장기 대회는 출전 제한을 두는게 어떨지 생각 해봅니다.
아마 대회는 줄이자고하면 주최기관에서는 다 각자의 이유를 대면서 반대할테니까요.
저보다 훨씬 훌륭하신 대한태권도협회 관계자 분들은 한번 고려해주셨음 좋겠습니다.^^
08-18
엘리트 선수들에 한해서, 말씀하시는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부 맞는말씀이긴 합니다만,
대회주최도 협회에서는 수익창출의 일부분이기 때문인것으로 생각됩니다.
대회를 주최하는 협회 입장에서는 협회 살림도 중요하지 않겠습니까 ?
교수님들도 월급없이 교수직 하시겠습니까 ?
아니겠죠.
전세계 무도인들이 코로나 19를 겪어봤듯이 밥 숟가락 못 뜨면 도장이고, 태권도고, 무도고 뭐고 없습니다.
대학도 재단이 힘들면, 정상적으로 돌아가지 않고, 정년교수님들보다는 강사나 비정년 교수들 많이 뽑지 않습니까 ?
무도는 어떠한 목적이든 결국에는 인간 생존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회 출전이라는게, 결국에 출전자 본인 좋자고 하는것 아니겠습니까 ?
어차피 대회 출전에 대한 최종 선택은 소비자(출전자, 지도자) 몫이고, 다양한 대회가 있다는것은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회 경비는 지도자들 주머니에서 나오는것이 아니라, 지도자들이 선수와 학부모들에게 경비를 받아서 지출하는것이기에 지도자들이기 자신들에게 부담이 된다는 주장을 펼치는것은 꿍꿍이이거나 허무맹랑한 발언들입니다.
없는척들 하는거죠.
대회가 많이 주최 되어야 태권도 홍보가 더 많이 됩니다.
대회 주최지역 지자체에서 홍보도 많이 하고, 예산도 나오겠죠.
대회에 출전한 출전자들이 입상을 하면 소속단체, 도장에서 현수막도 걸고, 기사에도 나오고, 이러한 것들이 태권도를 직, 간접적으로 홍보해주고 있고, 타무도들을 심리적으로 위축시키는 효과를 낳기까지 합니다.
용인대 총장기도 전남 강진에서 왜 개최가 되겠습니까 ?
과거처럼 용인대에서 하면 되지요.
지역 홍보, 지역 경제 활성화, 예산 지원, 학교 홍보, 태권도 홍보 등등...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을것입니다.
대회를 대폭 줄이면, 입상하는 사람들만 입상하고, 생활체육 + 아마추어들은 입상 자체를 못하죠.
그러면 더욱 더 그들만의 잔치,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 버립니다.
태권도는 꼭 엘리트들만 하는 운동이 아닙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운동이지요.
이미 태권도는 저변확대가 어느 정도는 되어 있습니다.
품새는 몰라도 태권도라는 단어를 모르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것입니다.
그렇다면, 비 태권도인들을 태권도에 좀 더 발을 디디게 하는게 중요합니다.
과격하고, 힘들고, 부상의 위험이 크면 사람들은 거부감이 들어 태권도 안합니다.
왜냐하면, 태권도 말고도 할것들이 많으니깐요.
직장도 다녀야 하고, 놀러도 가야하고, 다른 운동도 즐겨야 하고...
축구, 농구, 배드민턴처럼 될려면 누구나 할수 있다 라는 인식을 넣어줘야 합니다.
그렇게 될려면 대회가 많이 주최되고,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 태권도가 되어야 합니다.
08-18
대회가 많아도 너무 많음. 이게 태권도 보급이 잘되었고 태권도가 잘 발전해 나가고 있다라는 방증인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횡한 경기장에 지쳐있는 선수들을 보면 참 안타까움. 곽택용 교수님 역시 혜안이 남다르십니다.
08-17
충남도청 태권도팀 종합우승 축하드립니다 ????
08-17
새로운것도 좋지만 잇던것부터 잘 좀 생각해보세요 말로만 태권도는 하나라고만말고 본인집접 틀을 배워서해본적은 있는지 성인들은 멍청해서 미국에서 한국에서 창헌류도 하는건지? 생각이 필요합니다 새거 한다고 근본적인것들이 해결될가요?
08-17
전현희, 지가 할 수 있는 게 뭐 있다고...으휴...
08-16
좋은 의견인것 같네요. 잘한 선수가, 이긴 선수가 이기게 하는 방법을 제시한것 같네요다수의 심판이 승을 주면 승리하는게 맞는데 현 스템상으로는 안되니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 것 같네요심판들이 분명히 청 선수가 이기게 3:2로 판정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홍선수가 이기는 상황 이런 상황들을 대처 할 수있는 방안 흥미와 반전이 있는 방안에 대한 의견인것 같네요
08-15
모든 내용 100% 공강합니다.반드시 개선 되어야만 합니다.
08-15
정말 현직 코치로서 맞는 말씀입니다.계속해서 늘어나는 대회 선수입장은 뛰고싶고지도자 학부모 입장에서는 늘어나는 경비 및 부상 ,보강훈련이 되지않은 상태에서 시합을 뛰니 선수몸이 보호되지않고있습니다.. 시합의 위치또한 철원 태백위주라 정말 지도자 및 선수모두 누적되는 피로도로 인하여 제대로 된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못하는게 안타까운 현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