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카테고리 : (사용안함)
인기기사
- 1[부고] 무카스플레이온 한혜진 대표이사 장인상
- 2남승현 전 시범단장, 국기원장 선거 출마 선언… “도복 입은 현장전문가 될 것”
- 3김영태 원로, 국기장 수상… 코트디부아르서 뿌린 씨앗, 올림픽 금메달로 꽃피워!
- 4태권도의 날 기념식, 세계는 축제 성료… 정부는 올해도 홀대
- 5용인대, 대학연맹회장기 품새 종합우승… 주장 박현수 3관왕 활약
논쟁기사
- 1안용규·윤웅석·남승현 3파전... 국기원장 선거 10일 본격화!
- 2국기원장 선거 기탁금 5천만 원... 누가 돌려 받을수 있나?
- 3용인대, 대학연맹회장기 품새 종합우승… 주장 박현수 3관왕 활약
- 4[칼럼] 정부의 '태권도의 날' 홀대... 언제까지 ‘장관상’이 최고인가?
- 5태권도의 날 기념식, 세계는 축제 성료… 정부는 올해도 홀대
독자의견
- 한혜진이사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혜진 입니다. 글쓴이께서 궁금하신 국기원장 선거 기탁금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이번 선거는 약 2천3백여명의 국내외 태권도 지도자를 중심으로 투표로 결정됩니다. 세 명의 후보자가 각각 기탁금으로 5천만원을 냈습니다. 당선자는 당연히 되돌려 받고, 낙선자라도 유효투표 총수의 20%를 득표하면 반환 받을수 있습니다. 나머지는 국기원에 귀속됩니다. 관련 선거관리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39조(기탁금 처리) ① 선거관리위원회(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후보자가 당선되거나 유효투표 총수의 100분의 20 이상을 득표했거나 사망한 후보자의 기탁금은 선거일 후 30일 이내에 기탁자에게 전액을 반환하고, 유효투표 총수의 100분의 20 미만을 득표한 후보자의 기탁금 전액은 국기원에 귀속한다. <개정 2022. 5. 27.> ② 등록무효, 사퇴한 후보자의 기탁금은 반환하지 않고 국기원에 귀속한다.
- 한혜진이사님 대통령 선거처럼 이준석 후보 투표율이 저조해서 기탁금 및 선거 자금 못 받았는데, 국기원장 선거는 어떻게 투표결과가 나오면 기탁금 못받나요?아주궁금합니다.~~~~~ 요즘 기사거리도 없는데 기사 써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세번째 ㅋㅋㅋ,경원대사회교육원대/경원대태권도학과,친선축구대회에서 많은 태권도인들이 그때들은 말을10여년아니20년지난 지금도 그말을 잊지 못한다고~~~~투표율 저조하여 기탁금 5천만원 태권도인들에게 쓰여쓰면 좋겠다~~~~*참고로 경원대 태권도학과(4년) 졸업생들보다,경원대 사회교육원 나온 사람들이 더 잘나감 ㅋㅋㅋ.
- 아~~~감사합니다~~~~~
- 선거룰에 의하면 이미 두번이나 연속적으로 원장직을 했기때문에 이번 즉 3번째는 등록할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 에는 가능 한데 그때는 나이가 많아 가능 할지 모르겠네요.
- 현 이동섭 국기원장님은 재출마 안 하시나요?되게 열심히 하셨는데요.
- 검사님 짱!!
- 역시 최고의 무도특성화대학 용인대 !
- 아니 윤석열 정부때는 말 한마디 없다가 왜 지금 이재명 정부한테만 뭐라 하는지 똑같네 기성 언론들 하는 것 보면 여기도 별차이도 없다
- 현재 태권도 수장들의 역량과 수준이 딱 거기까지 라고 생각 됩니다. 그리고 일선 지도자들은 거의 모릅니다. 이상 끝.
- 심판이어서가 아니라 품새의 발전과 미래를 위해 필요한 것이 그 무엇이든 시행 해보고 도입이 되어야 합니다.오로지 선수가 주가 되어야 하고 그 선수가 나아가 대한민국 태권도의 미래입니다.공정한 판정이 심판의 기본 의무 입니다, 당연하지요.또한 그 공정한 판정을 위해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도입을 하고 시정 해야 할 의무도 있다고 생각합니다.당장 비디오 판독 도입은 시급 하다고 봅니다.심판의 능력만이 문제가 아니라 불가항력 이상의 상황이 늘 시합장에서 일어 나고 있고 그 상황으로 인해 선수,지도자.심판.임원 등 모두가 다 피해 아닌 피해를 보며 아픔을 감내 하고 있습니다.조금더 쉽고 빠르게 모두가 편안한 방법이 있음을 알고 있으면서 여러 사황이 맞지 않다는 이유로 해결이 되고 있지 않습니다.모든 아픔과 힘듬은 오로지 선수.지도자.심판.그리고 학부모님들이 가지고 가야 하는 건 아닙니다. 반드시 개선 해 주 실거라 믿고 더 공정한 심판 업무를 더 열심히 노력 하고 공부 하면서 임하며 기다리겠습니다.
09-17

09-16

09-15
09-15
09-14
09-12
09-12
09-11
09-05
09-05
09-04
08-28
칼럼더보기
-
[칼럼] 정부의 '태권도의 날' 홀대... 언제까지 ‘장관상’이 최고인가?
정부가 과거와 달리 태권도를 대하는 자세가 매우 무성의하다. 때로는 홀대하는 것 같은 인상마저 적지 않다. 그 대표적인 단면이 바로 ‘태권도의 날’을 대하는 태도다. -
[곽택용의 태권도다움] 쉴틈없는 태권도대회, 이대로 괜찮은가?
현재 우리나라 태권도 대회는 1월부터 12월까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사계절 내내 빽빽하게 짜인 일정 속에서 선수들은 실전 경험을 통해 기술 능력을 높이고, 많은 대회를 통해 메달 기회를 얻는다. 그러나 지나치게 잦은 대회 출전은 선수와 지도자 모두에게 체력·정신·경제적 부담을 안기고 있다. -
<발언대> 태권도 품새 경기, 박진감-공정성 높이는 세 가지 제안
필자는 다년간 태권도 품새경기 현장을 지켜보고, 심판으로 참여하며 느낀 바를 토대로 태권도 공인품새·자유품새의 경기방식과 채점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곽택용의 태권도다움] 심판 판정의 공정성과 전문성
경기에서 냉철하고 명확한 판단을 내려야 하는 심판에게 있어 공정성은 무엇보다도 핵심적인 요소이다. 심판은 해당 종목의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가로서, 그 판정은 항상 공정하고 정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