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분석(1))1920년대 수박,김원보 선생,영상 캡쳐 설명
(김원보 선생)조선 최초 수박 영상(1920년대),독립운동가 추정,기록유산,논문 등재,교보문고 출판예정
(내용은 수정, 보충 됩니다!)
1920년대 수박 영상이 일제강점기 이규설 감독의 현존 조선 최초 무성영화에서 발견됐다.
필자가 이 영화를 볼 이유가 없었다.
영화 제목이 근로의 끝에는 가난이 없다,로써 당시 일제가 조선인들을 계몽하고자 제작했다는 한국영상자료원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김원보 선생(1897년 출생, 독립운동가 추정)의 격투모습을 본것은 무엇에 끌리듯이 영상을 클릭했기 때문이다.
부언은 차치하고
김원보 선생의 동작, 기술 및 몸 움직임 등은 필자가 해당 영상을 수차 반복해서 보고 영상을 캡쳐해가면서도 1920년대에 이렇게나 숙련 된 분이 계셨구나 하는 감탄을 하게된다.
필자 의견에 동조해주십사 하는것이 아니므로 각자 생각하되 영상을 대충 보고 무슨 막싸움이니? 개싸움이니? 하는것은 참으로 어렵게 이 싯점 우리들에게
발견 된 일제강점기 조선 전래 수박, 태권도의 원류로써 기예능적, 학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그리고 그 기능자로 확인되는 김원보 선생에 대한 모독일 것이다.
(필자는 태권도 사범 출신이기도 하며 일제강점기 쇼토칸 영향을 받은 태권도가 역사 관련 고구려 운운 하는 작금에 우리 전통 수박과 중국 남부 복건성의 권법이 유사한 부분이 적지 않다는 것을 추가해서 일러둔다)
이규설 감독은 총 18분 영화에서 1분이나 격투에 분량을 할애했다.
즉, 비중 있는 장면이라는게다.
그런데?
아래에 확인 할 수 있지만 김원보 선생이 박순봉(이분은 1970년대까지도 활발한 영화계 참여를 하셨다.
동작은 시키는데로 하는것이라 숙련도는 볼 필요가 없다)
이 떼밀기를 해서 넘어졌다가 완력으로 밀면서 일어나고 그 다음 동작으로 상대방이 손으로 치려고 할때 그냥, 자신의 우측방향으로 멱살께를 잡아채 버린다.
그리고, 뒷걸음 치면서 거리를 확보하는데 이때, 영화 앵글(필자가 영화 언어에 문외한이므로 이해를 구함)에서 벗어난다.
박순봉도 마찬가지다.
이규설 감독이 일제 국책 사업의 일환인 계몽(교육)영화에서 이렇게 서툴게?
연출을 할 분이 아니라는것을 알아야 한다.
이규설 감독은 민족영화라 일컫는 아리랑을 감독한 춘사 나운규와 조선 최초 설립된 영화사인 부산키네마주식회사에서부터 같이 동거동락을 했던 이다.
1926년 이규설 감독이 농중조를 감독 했고 같은 해 나운규가 또 아리랑을 감독했었다.
아리랑에는 이규설이 주인공의 아버지역으로도 출연했다.
이와 같은 이규설의 한국 영화 초기 위치를 보건데 영상에서 김원보와 박순봉 두사람이 영화 앵글을 벗어난것을 인지 하지 못했으리라 볼수가 없다.
1920년대 중후반에도 조선에 서양식 활극영화나 사무라이 영화 등이 보급됐던것 같다.
일본 가라테도가 조선에 들어 오기 전이나 서양식 복싱 또한 모르지 않았을 이규설 감독이 그와는 전혀 같지 않은 격투모습을 1분이나 되는 짧지않은 시간동안 김원보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촬영했다.
좌측/박순봉 우측/김원보
박- 왼손을 땅에 짚고 일어서며 김쪽으로 길게 들어가며 양손으로 떼밀기를 한다.
김원보가 바닥에 넘어지면서도 왼손으로 박의 멱살께를 부여잡고 힘으로 미는터라 김의 몸통에 올라타지 못하고 왼손으로 주먹치기
이어서 왼손을 김 가슴부위에 대고 오른손 주먹치기를 연이어 하고 있다.
상대를 잡아 두고 팔을 쳐 들어 연타(주먹으로 칠때 팔굽의 각도에 유의)

박순봉이 김원보를 밀쳐서 넘어뜨렸다.
김원보의 왼손이 박의 멱살부위를 잡고 미는 모습이다.
팔을 쭉 뻗어 거리를 벌려서 상대방 타격력을 약화시키고 고개를 틀면서 팔과 함께 방어한다.
이때 잡은 팔은 방어가 되기도 한다.
필자 주: 맞받아 칠수도 있다.
상대방 덜미를 잡고 옆으로 제껴 오히려 위에 올라 탈수도 있다
영상에서 김원보는 밑에 깔린 상태에서 다리를 굽히려 애쓰다 완력으로 밀치며 일어선다.
필자 주: 상대 몸통을 발로 밀어 찰수도 있다.
김원보가 일어서고 있다.
왼발로 바닥을 그리고 우측손으로 지탱하며 일어선다.
일어 선 뒤에도 계속해서 박의 멱살을 잡고 있다.
선 상태이다
멱살 잡힌 박순봉이 이번에도 오른손으로 친다.
이때 김원보가 잡은 멱살을 옆쪽으로 뿌리치듯 당겨 채고 있다.
박순봉 몸이 중심을 잃고 휘청거린다.
박의 가격이 실패했다.
영상을 보면 김원보가 스탭을 밟는걸 확인할 수 있다.
지금의 복싱과는 차이가 있지만 분명한 보법으로써 걸음걸이다.
수박에서 게걸음이라 하는것임
왼발, 오른발 교대해서 밟으며 이동한다.
처음 일어서서 자세를 잡는 동안 짧게 오른발>왼발 붙이고
이어서 잡아챌때는 오른발이 왼다리 뒤로 길게 물려 디디며 꼬아서기가 나오기도 한다.
다시, 왼발을 뒤로 그리고 오른발을 끌어서 옆에 두고 있다.
김원보는 영상 내내 안정된 자세와 무게중심을 유지하고 있다.
이동 할때도 마찬가지다.
등은 적당히 굽혀서 복싱하듯 하는 태세다.
일제강점기 조선 삼대천재 최남선은 <조선상식풍속>에서 수박을 일러 복싱에 가까운것!이라 했었다.
영화 앵글에서 두사람 모두 벗어났다.
김원보가 오른 발을 조금 우측으로 벌려서 디디며 상체를 우측으로 기울여 박순봉의 공격을 회피
박의 왼팔을 자신의 왼손으로 걸어 내리며 제압
박은 계속 오른손을 들어 내려칠듯
영상에서는 김원보가 양다리를 충분히 옆으로 벌려서 흡사 태권도 기마자세를 한다.
김원보가 측면으로 서며 오른 손을 들어 박순봉의 뒷목부위를 가격하고 있다.
이때 김의 왼손은 박의 팔을 제압하는 상태다.
뒷목 가격(1)

김이 가격후 양팔을 내리고 왼발, 오른발 순서로 뒷걸음친다.
박이 쫏아 가고 있다.
왼손을 크게 내려치지만 헛치는 모습
디딤발은 오른발이다.
김원보가 여유를 보이고 있다.
자세를 낮췄다가 다소간 무릎을 펴면서 본인 허리춤에 손을 가져다 두고 옷을 고쳐 입는듯
왼발을 뒤로 빼서 거리를 벌려 피한다.
이때도 김원보 양손은 그냥 허리춤 위치에 있다.
이번에는 김원보가 허리춤에 양손을 짚은체 태권도 범서기처럼 회피(이 사진은 캡쳐가 되지 않았는데 원본 영상을 보면 확인이 된다)
박이 헛치고 중심 잡으려 하는 모습이다.
김원보는 이때까지도 양손을 허리에 두고 있다.
김원보의 발 놀림을 살펴보면 상의를 고쳐 매듯하면서 오른발을 왼발 뒤로 다시 앞으로 그다음에 왼발을 끌어다 붙이고 있다.
타격 거리 내에서 거리조절 하는것
박이 오른손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내려친다.
재차 왼손으로 칠때
김원보는 박이 헛치는것을 보다가 박이 왼손으로 내려칠때 상체를 오른편으로 기울이며 회피하고 동시에 양팔을 들어서 왼손으로 박의 목, 울대부위 가격하고 있다.
이때 김원보는 오른팔을 거들어 드는듯 하다.
왼손으로 박의 목을 쳤다.
디딤발은 오른다리다.
왼발을 뒤로 뺀다.
영상에서는 아주 짧은 시간인데 김원보는 박이 오른손으로 들어 칠때 회피하면서 조금전에 박의 목을 쳤던 왼손으로 박의 어깨 뒷부분을 짚는다.
왼발을 뒤로 빼면서 어깨를 밀어치듯
김원보가 박의 우측 어깨 뒷부분을 짚고 있다.
타격 내지 밀치는 상태다.
박은 중심을 잃고 휘청인다.
짚은체 타격하는 모습이다.
수박에서 상대방을 잡거나 누르고 또 대는 등 양손을 활용하는데 김원보 또한 다르지 않다.
김원보는 박의 뒤에 위치하고 상대방을 왼손으로 밀어 제압하며 오른손을 들어서 등을 치고 있다.
오른 손 타격 때 사진 캡쳐가 안됐는데 원본 영상에서 김원보는 오른 발 짭게 빼고 이어서 왼발을 박순보 뒤편으로 디디며 기마자세처럼 한다.

김원보가 오른발을 앞에 두고 측면으로 비껴 선 자세를 하고있다.
양손은 지금까지도 허리춤 에 있다.
박은 오른팔을 쳐 든체 마주하고 있다.
(2편에 계속!)
의견쓰기 (익명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