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보(기마세)의 정확한 자세를 알고싶습니다

2003-10-31 / 조회수 : 6,269 신고
마보랑 기마세랑 똑같은말 맞죠?

만약에 다르다면 그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자세를 정확히 알고싶은데요 제가 얼핏보기에 수련하는 자세가 태권도의 주춤서기랑 검도의 기마세와는 차이가 있는것 같더군요..

자세가 나와있는 사진을 구할수 있다면 주소나 올려주시면 정말감사하겠사와요 -0-;;

사진이 안된다면 글로된 설명을 읽고 꼭 수련하고 싶습니다(__)
이전글 다음글
목록

답변하기 (익명보장)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
  • bruce9717

    마보는 종류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마보는 어떤 특정한 정해진 법칙은 없습니다.

    법칙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무술의 종류마다 다르겠죠

    마보라는 것은 말그대로 말을 탈때의 자세를 본따서 만든 자세입니다.

    그것은 소림권 일반 정통권 태권도 가라데 등등. ..

    여러 무술에서 발견되는 가장 기본적인 자세입니다.

    그 이유는 물론 .. 조금씩은 다르지만 그 근본

    무릎을 굽히고 무릎을 조이는 그 자세는 인체의

    氣가 가장 잘 모이는 자세이기 때문이지요.

    소림권의 마보는 크게 벌립니다 두다리를...

    그러나 정통권의 마보는 작고 무릎을 최대한 조입니다.

    태권도의 마보는 살짝 무릎을 굽힌 자세지요..

    마보에는 ...정해직 법은 없습니다. ..기본 틀에 비추어 보아서...

    가장 편하고 오래버틸수 있고 가장 큰 힘을 낼수 있는 자세가

    바로 당신의 마보입니다.


    출처 : 본인 직접 작성

    2003-11-11 신고

    댓글 0
  • pds7724

    답변입니다...
    마보와 기마세는 같은 자세입니다...

    마보는 중국식의 발음을 한자로 표현한 것이구여 기마세는 우리식으로 말위에 올라탄 자세를 말합니다.

    태권도의 주춤서기는 기마세(마보)가 맞습니다...맞고요...^^

    저도 검도를 했었는데 님께서 말한 검도의 기마세는 무엇을 말하는것인지 모르겠네요...

    검도에는 기마세가 없습니다.(대한검도)혹시 해동검도에는 있을지 모르겠네요..

    아니면 추측이지만 허리치기자세를 보시고 기마세라고 하신 것일수도 있겠네요.

    허리치기 자세는 기마세가 아니고 궁보 라고하여 기마세에서 자세를 측면으로 바꾼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마세 훈련을 하신다니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설명드립니다.

    기마세는 중국무술과 우리나라무술 중 일부에서 대단히 중요한 수련법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의 위력을 높이며 몸전체의 단련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자세 설명: 차려자세에서 두 무릎을 약간 앞으로 굽히고 왼발을 왼쪽으로 어깨 넓이만큼

    벌려서 딛습니다. 이때 저의 경험상 중국무술의 진각(땅을 힘차게 구르며 딛는 동작)을 하면 좋습니다.

    양 어깨는 자연스럽게 펴고 척추가 비틀어지거나 한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처음 연습시 양손은 양

    쪽 허리에 두는것이 좋습니다. 목을 바로하고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고개를 숙이거나 쳐 들지 않도록 주의합

    니다. 가랑이 사이는 둥글어야 하며 상체와 허벅지, 허벅지와 종아리가 90도 각도가 되게 유지합니다.

    이 자세는 양손을 허리에 얹은 일명 투명의자 자세(기합)또는 말을 탄 자세입니다.

    손 동작은 처음엔 양 허리 다음엔 앞으로 나란히 그 다음으로는 둥근 공을 양손으로 들고 있다는 기분으로 하

    거나 여러 가지 손 동작을 병행하면 좋습니다.

    이 기마자세를 처음 수련시에는 1분 그 다음엔 3분, 5분, 7분, 10분...1시간을 할 때까지시간을 늘려가면서 연

    습합니다. 이 자세로 1시간을 유지 할 수있다면 엄청난 힘이 내부에 생길 것입니다.

    * 주의 사항 및 지켜야 할 것들.

    1. 발끝은 반드시 11자 모양이 되어야 하고 ㅅ 자 모양으로 벌어지지 말아야 합니다.
    이는 사고립이라하여 중국무술에서는 기가 새어 나간다고 해서 상당히 주의를 합니다.

    2. 수련 시간은 억지로 늘리려고 하지 말고 목표시간까지 자세를 유지해도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고 호흡이 흐트러지지 않으면 수련시간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수련합니다.

    3. 매일 수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출처 : 본인작성

    2003-11-01 신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