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발차기의 장점과 단점!! 답변 부탁드립니다^^:;

2003-10-08 / 조회수 : 3,584 신고
태권도 장점은... 순간의 파괴력이 강하다는 것이겠쪄?
회축이나, 턴차기..(물론 정타 였을 때~) 또는 뒷차기, 내려찍기 경우..
치명상을 줄수 있지염~~ 그중에 뒷차기는 생각만 해도 무시워..ㅠㅠ
맨발에서도 엄청난 파워를 줄수 있는 것이 태권도의 매력이 아닐런지염..
구런데..이런 태권도 발차기 속에..단점이 숨어 있다면~~
부족한 공격 루트! 쿵후와는 달리...발차기의 공격 종류 범위가..
적다는 것이지요...아주 크게 나뉘어서 돌려차는 종류, 찍기 종류,
회전종류, 쪽으로 나뉘어 지자나염.. 모! 실전이든, 겨루기든..
쓰는 발차기가 몇가지나 될까여? 앞차기,돌려 차기, 턴차기, 회축,
내려찍기, 뒷차기, 옆차기.. 이것 말고..더 쓰는것이 모가 있을까염?
후리기 정도두 훔...포함 되겠궁... 이런 정도 말고는...이렇다할 발차기가 없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 되겠네여...구런데 살펴보니 치명적인 단점 같아요..공격 루트가 다양하지 못하면 변법을 쓰는 타 무술에겐..
조금은 쉬운 무술 상대가 아닐까염? 7~8가지 정도의 공격용 발차기로..
최고의 무술이 태권도라구 하기엔 넘 부족 하지 않을까욤..^^
어떤 무술이든지 단점, 장점이 있기 마련이지만~ 이런 단점은..
치명적으로 작용 할꺼 같네욤..열분 생각들은 어떠신가욤?


이전글 다음글
목록

답변하기 (익명보장)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
  • taemoo

    제가 보기엔..
    생각해 보셨을지 모르겠지만 다른무술도 많은 기술이 없습니다.

    님이 좁은 눈으로 보신것 같네요.

    모든 무술은 기본적인 것에서 응용해서 여러가지 기술을

    만들어 낸다고 할수 있겠네요.

    태권도도 손의 거의 않쓰는 무술이지만 발로만으로도

    여러가지 기본기들을 조합해보면 수도 없이 많은 기술이

    나올껍니다.

    출처 : 나 생각//

    2003-10-08 신고

    댓글 0
  • taemoo

    이론 이론....

    (돌려찍기,내려찍기,밖에서 안으로 내려찍기,뒷차기,뛰어뒷차기,턴차기,속여턴차기,회충,나래차기,빠른발돌려차기,등등)

    님께서 말씀 하신..발차기역시..제가 말한 몇 안되는..발차기를
    기본으로 변형 시킨 것이 아닙니까?
    하나씩 나열 해봅시다.. 돌려찍기역시..돌려차기와 내려찍기를 병합 시킨 것이며, 밖에서 안으로 내려찍기 역시 회전을 이용한 돌려차기와 내려찍기를 변형 시킨것..원리는 둘다 같습니다. 뛰어뒷차기...실전에서..
    얼마나 써먹습니까? 차라리 360도 돌려차기가 훨 낫습니다. 회축식으로 돌려 차는 거... 턴차기 역시 원래 기본은 돌려차기와 회전을 이용한 발차기... 나래차기 역시 돌려차기를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빠른발 돌려차기 역시 돌려차기를 이용하고 있고요...
    제가 말하구 싶은건..이렇게 이름만 거창히 나열되어 있는 발차기가 아닙니다.. 이런 식으로 따지면 쿵후나, 소림사 같은 경우는..주먹 쥐는 법에서 얼굴 치는 공격 하나, 몸통 치기 하나.. 다리 치기 하나...손목 비틀기, 명주 치기, 등등...훨씬 더 많습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건
    태권도의 몇가지 안되는 기본 발차기로 너무 많은 것을 변형 시킨 다는 말입니다. 위에서 님께서 나열한 발차기 역시 제가 말한 것 처럼, 돌려차기와, 옆차기를 크게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무슨 말인지 이해 하셨길 바랍니다. .




    출처 : 본인생각

    2003-10-08 신고

    댓글 0
  • taemoo

    제 생각엔..
    어느 무술이나 발차기 기술은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어떻게 응용을 잘 하는지에 따라서겠죠! 차고 빠지고 다시 받아 차고 옆으로, 빠지지않고 그대로 서서 공격 하는것등등..., 수도 없이 많은 변화적인 응용 동작 들이 있습니다. 태권도의 다양한공격과 순발력은 꾸준한 수련을 통해서 얻어 집니다. 빠른 머리회전과 정신을 집중 하는 수련,그리고 무엇 보다 중요 한것은 운동수행능력(운동신경)이 뒷바쳐 줘야되겠죠. 지금은 다양한 발차기가 잘 보이지 않겠지만 오래, 꾸준히,열씸히 수련해 보세요! 그럼 아주 자연스러운 태권도 공격과 수비가 행해 집니다.
    답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휴식시간에 사이트에 들어와 보니 이런글이 올려져 있기에 짧은 소견이나마 ......, 그럼 이만 애들 수련 때문에 나가보겠습니다. 안뇽히 계셰요!!!~~~~~~~~^^



    출처 : 안녕히..

    2003-10-08 신고

    댓글 0
  • taemoo

    아이궁
    아이궁
    태권도의 발차기는 종류가 수없이 많습니다
    돌려차기,내려찍기,밖에서 안으로 내려찍기,뒷차기,뛰어뒷차기,턴차기,속여턴차기,회충,나래차기,빠른발돌려차기,등등
    이것말고도 엄청 많은데 쓰기 귀찬음
    암튼 이러케 종류가 만아여




    출처 : 본인

    2003-10-08 신고

    댓글 0
  • taemoo

    글쎄여...지 생각은 다른디..
    단순한건 그만큼 강하다는 것이 될수두 있쥬.
    서로 맞딱뜨렸을때의 마음가짐과 자세두 중요허지유.
    글구 스피드 또한 중요허구유, 정확성과..
    단 하나의 동작이라두 하루에 2시간씩 발차기 혀봐유.
    넘 힘들다구유. 그래두 혀봐유..
    자질구레한 여러 종류의 방법보당 확실헌 한가기자 났지유..
    에...그리구...무영각이라구 들어보셨을뀨..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다는 거지유..
    하루두 쉬지 마시구 한 10년 허시면 비슷허게 될끼유..
    헤헤 고럼 이만..건강들 허시유..안뇽히^^

    출처 : 본인

    2003-10-08 신고

    댓글 0
  • taemoo

    그것 말고도 많잖아요
    그것 말고도 많잖아요.빠른 옆차기,빠른 돌려차기,연속차기,올려치기 뒤후리기,점프뒤후리기,날아옆차기,런차기,상대무릎을 옆차기로 차는(고려참고)것등등..




    출처 : 본인

    2003-10-08 신고

    댓글 0
  • taemoo

    일리는있습니다만...
    안녕하세요 태권도발차기는 세계적으로 어느무도도 따라올수없는

    스피드와 파워와 정확성 과 화려함을 자랑합니다

    제가 님께 한가지 묻고싶습니다 배구선수가 코트에서의 배구는 매우잘하는데

    해변배구는 못할까요? (모래사장에서 한팀에 두명이서하는배구)

    아닙니다 절대아닙니다 태권도에서 스피드와 파워가굉장한사람이

    하단발차기를차면 하단차기만 연습한사람보다 파워가 덜나올까요?

    절대로 아닙니다 공격루트가 다양하지못한점은 자신이 이용하는 방법에따라

    좌우된다고 생각합니다 태권도선수들이 하단공격을 못하는게 아닙니다

    겨루기의 규칙상안하는거지요 그렇다고 해서 하단공격시 파워가 없고

    스피드가 없는게 아닙니다 무슨뜻인지 이해가능한가요?

    태권도는 최고의 무술이자 모든무술의 기반이되수있는 무술입니다

    가령 태권도는 회축을(도장마다 다르지만) 대각선으로 뒷차기를찬뒤

    무릎의 스넵을이용하여 후려주고 일정범위에서 들어오는식입니다

    발의 위치를본다면 부채꼴모양으로 후려주는식이죠

    허나 합기도는 뒤꿈치로 삥~둘려후려버리는식입니다 전에언급한 발이

    태권도발이라치고 뒤꿈치로 돌리는발이 합기도발이라 칭하겠습니다

    그럼 태권도발차는사람은 뒤꿈치로 돌려버리는식의 합기도발을 못찰거

    같습니까? 아닙니다 그러나 합기도발을 차는사람은 태권도발처럼 후려주는

    발차기를 찰수가없습니다 모양은 비슷하게차나 그 스넵(순간적인파워) 를

    이용하지못하죠

    님이 말한여러가지발차기.... 몇가지를 언급해보겠습니다

    낭심차기 있습니다 앞차기를 잘차는사람이 낭심차기 못찰까요???

    족도차넣어주기 있습니다 발모양을 옆차기식으로 날을세워 약간 대각선으로

    차는 앞차기 입니다 그걸 못차겠습니까?

    아닙니다 타무술보다 발의스피드가 2배이상 빠르고 파워가있는 태권도를

    배우는사람이 발차기의 공격루트가 다양하지못하다는건 님의 생각입니다



    출처 : 본인

    2003-10-08 신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