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령에 관한 질문입니다^^

2004-06-06 / 조회수 : 3,043 신고
제가 힘을 길러야 겠다는 생각에 아령을 3kg짜리 2개를 구입하였는데 인터넷을 뒤적 거리다 보니 어떤 분들은 2kg이 적당하다, 어떤분들은 3kg 등 대답이 너무나 차이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무술 전문사이트인 무토에 질문을 합니다.
제가 중2, 15살 입니다.
키는 167cm정도이고 체중은 45kg~46kg정도입니다.(체중이 너무 적게 나가요..ㅠㅠ)
무엇보다도 성장기인 제가 아령운동을 하면 성장에 지장을 주는지가 가장 궁금합니다.
그리고 몇 kg의 아령이 적당한지 어떤 방법이 적당한지 자세히 아르켜주세요^^
자세히 정확하게 아르켜주세요^^(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답변하기 (익명보장)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
  • ddd369

    잘못된상식
    잘못된 상식이 있죠 헬스나 아령을 들면 키가안큰다는....
    물론 키가 안크긴하죠 지나치게 하면요 하지만 적당히한다면
    오히려 키크는데 도움을 줍니다. 좀안다하는 사람들은 다아는 사실이죠
    그리고 청소년시기에는 뼈를 자라게하고 근육을 만는 것에 영양소들이 쓰여져야하는데
    운동을 무리하게하면 영양소들이 다 소진되어버리므로
    운동은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에 60~70%만 하는것이 적당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출처 : 본인직접 작성

    2004-06-10 신고

    댓글 0
  • tenshin

    아령운동 정보
    탱탱한 팔뚝·어깨…아령으로 건강미인
    매주 2∼3차례 하루 30분씩 해야 효과

    예전엔 배·허벅지·엉덩이만 날씬해도 “몸매 좋다”는 칭찬을 들었다는데, 요즘 ‘건강 미인’ 소리를 들으려면 군살없이 탱탱한 팔뚝과 어깨까지 갖춰야 한다. 팔뚝살은 뱃살·허벅지살에 이어 맨 나중에 쪘다가, 빠질 때도 맨 나중에 빠진다. 피하지방이기 때문에 내장에 지방이 끼는 복부비만보다 건강 위해도는 낮지만, 여간해선 빠지지 않아 휘트니스 측면에선 더 강적(强敵)이다.

    팔뚝살을 집중 공략하려면 줄넘기·조깅·산책·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통해 몸에 축적된 지방을 소모하면서, 아령운동을 통해 팔뚝 근육에 탄력을 되살려야 한다. 일산백병원 비만클리닉 양윤준 원장(부산아시안게임 국가대표 팀닥터)은 “1주일에 2~3번 하루 30분씩 3개월 이상 계속하면 팔뚝 앞쪽 이두근과 뒤쪽 삼두근에 탄력이 붙는다”고 말했다.

    ◆ 아령 선택 요령 =근력은 개인차가 크다. 적당한 무게는 한 팔로 아령을 들고 8번 반복해서 들어올렸을 때 좀 뻐근한 정도다. 초보자는 대개 500g~1㎏(여성), 2~3㎏(남성)으로 시작하고, 팔에 힘이 붙으면 500g~1㎏씩 올린다. 무게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 3~8㎏(여성), 5~10㎏(남성)짜리 아령을 한 팔로 8번쯤 들어올릴 수 있게 되면 그 무게로 계속한다. 백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지송운 임상운동사는 “무리해서 무거운 아령을 들거나 자세가 나쁘면 근육에 무리가 오고, 심하면 관절과 인대가 부딪쳐 근육이 딱딱해지고 근육통이 계속되는 ‘근막통증증후군’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 운동 프로그램 짜기 =자전거타기·달리기·조깅 등 유산소 운동과 팔·다리 스트레칭을 각각 10~20분씩 해서 근육을 풀어준 다음, 아령운동을 30~40분간 하고, 다시 유산소운동과 스트레칭을 각각 10~30분씩 한다. 아령운동은 근력운동이기 때문에 한 번 하고 나면 근육이 쉴 시간을 줘야 한다. 1주일에 2~3번만 하고, 중간에 비는 날은 유산소 운동만 해준다. 3개월 이상 계속하면 확실히 근육이 달라진다. 1주일에 500g 정도 체중 감량 효과도 볼 수 있다. 좀더 감량하고 싶다면 아령운동 전후에 하는 유산소 운동 시간을 각각 10~20분씩 총 30~40분 늘린다. 모든 아령 운동은 한팔로 10~15회 하고 1~2분 쉬었다 다른팔로 바꾸는 것을 세번 반복하는 것이 기본이다.

    ◆ 어깨 근육 강화 =엄지손가락이 땅을 향하고 손등이 정면을 보도록 아령을 쥔 다음 양팔을 어깨선보다 조금 낮은 정도까지 들어올린다. 이때 팔이 완전히 옆으로 가지 않도록 15도 정도 앞으로 내밀어야 한다. 팔을 옆구리 부근까지 굽혔다가 처음 자세로 들어올린다. 팔을 어깨선보다 높이 들어올리면 근육과 인대에 무리가 오므로 요주의.

    ◆ 이두근 강화 =무릎 높이 의자에 앉아 두 발을 어깨 넓이로 벌린다. 아령을 든 팔꿈치를 무릎에 놓고 고정시킨 다음, 팔꿈치를 구부려 아령을 힘껏 들어올린다. 팔꿈치가 흔들리면 운동 효과가 적고, 부상 위험이 크다.

    ◆ 삼두근 강화 =축 늘어진 팔뚝 뒤쪽 삼두근에 탄력을 줘야 한다. 무릎 높이 받침대에 한쪽 무릎과 팔을 세우고 선 다음, 다른쪽 팔로 아령을 든다. 이때 양 어깨 높이가 나란해야 한다. 팔꿈치 윗부분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기분으로 아령을 든 팔을 뒤쪽으로 쭉 편다. 익숙해지면 좀더 숙련된 삼두근 운동법을 시도해 볼만 하다. 아령을 든 손을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다른 팔로 어깻죽지를 고정한다

    자료원 : 2002. 9. 25. 조선일보

    * 출처: http://my.dreamwiz.com/handmsj/health/heah/dumbbell.htm


    출처 : 인터넷 검색자료 인용

    2004-06-06 신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