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발질은 나은편 인데
한번차고 나면 축이 되는 다리가 움직이고요
한번차고 나면 다음 발질이 힘들어요
0
이전글다음글
목록
답변하기 (익명보장)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
hiphop85
답변입니다.
복식 발차기는 단식보다 어렵고 빨라야 그 맛을 느낄수 있습니다.
복식 발차기에는 쉽게는 돌려차기 + 돌려차기가 있고 어렵게는 돌려차기 + 뒤차기 + 내려차기 같은 콤비내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복식 발차기는 실전이나 K-1, 또는 PRIDE같은 이종 격투기에서는 사용하는게 곧 자살 행위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라리 돌려차기 + 이권 같은 주먹과 발차기를 연결하는게 훨씬 유용합니다.
주먹 + 발차기든 발차기 + 발차기든 중요한 것은 연습량입니다. 연습을 많이 하면 못할 기술은 세상에 없습니다. 처음에 연습하시고 싶으신 것을 고르세요. 예를 들자면 돌려차기 + 나래차기 + 뒤차기를 골랐다면 그 동작들을 부분적으로 연습하세요. 즉, 돌려차기를 먼저 빠르게 차고, 그다음 나래차기를 차고, 그 다음 뒤차기를 차고 제자리로 빨리 회수하는 겁니다. 이게 잘 되면 그다음에는 천천히 그 동작들을 이어서 차보는 연습을 하세요. 처음에는 균형도 잘 안잡히고 빠르게 안됩니다. 하지만 그게 다 되는게 이상한 거니 그런건 걱정 마세요. 그 천천히 하는게 수월해지면 저절로 속도가 빨라지도 파워도 붙습니다.
님께서 연속 발차기의 대표적인 예인 무한 나래차기(?)를 하고 싶으시다면 약쪽 돌려차기를 매일 연습하세요. 양쪽 합해서 한 400여번 정도를 매일 말입니다. 그렇게 매일 하면 나중에는 발차기에 힘이 붙고 중심잡는 법도 혼자서 터득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속도나 파워 보다는 매일 연습하는 끈기 입니다. 제가 매일 강조하지만 끈기 앞에서는 무서울게 없습니다.
전 님께 복식 발차기, 즉 연속 발차기를 권장해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뭐 태권도나 그런 겨루기 같은 때에는 잘 쓰이지만 막상 실전에 가면 복식이고 뭐고 없습니다. 가장 빠르고 쎈 한방이 모든것을 결정짓거든요. 즉 님께 많은 주먹 기술과 단발 발차기를 연습하실 것을 권장해드리고 그래도 복식 발차기를 하시겠다면 가장 간단하고 빠르고 강한 것만 골라서 연습을! 그 예를 몇가지 드리자면...
1) 돌려차기 + 돌려차기 (하단 + 중단, 하단+ 상단, 중단 +중단, 중단 + 상단 등...)
2) 돌려차기 + 뒤차기
3) 돌려차기 + 뒤후리기
4) 돌려차기 + 내려차기
5) 뒤차기 + 돌려차기
6) 뒤후리기 + 돌려차기
7) 내려차기 + 돌려차기
등이 있습니다... 님의 수련에 무궁한 발전을 기원!
출처 : 본인직접 작성
2004-01-04
신고
댓글 0 0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
ridic
복식발차기 , 족도초식
단식발질은 나은편 인데
한번차고 나면 축이 되는 다리가 움직이고요
한번차고 나면 다음 발질이 힘들어요
요령이 부족해서 인것하고 수련 부족
요령 . 복식발차기 할떄 처음 동작은 살살 다음동작은 썌게
수련 . 중심잡기 트레이닝
소림마보참춘공을 추천합니다.
마보 수련법 (저는 하루에 5분정도하는데 허벅지가 굴어지면서 발차기를 오래할수잇었습니다.)
- 사평마보의 자세로 참춘공을 수련하면 그운동의 강도가 비교적 큰편이다. 연공 시에는 양발ㅇ르 벌리고 발끝도 앞으로 평행하게 하여 선다. 열발가락으로 땅을 움켜 잡듯이 서는데 발바닥 중앙은 땅에 대지 않는다. 이것을 조지(爪地) 라고 한다. 무릎을 굽혀서 90도가 되게 하며 허리와 고개를 바르게 펴서 앞으로 기울지 않도록 주의한다.
양손의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고 네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벌린다. 엄지 손가락도 구부려지지 않도록 곧게 편다.
양팔꿈치를 들어서 어꺠 높이로 수평이 되게 하는 방법과 손끝을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시선은 두손가락의 끝을 내려다본다.
(간추려서)연공을 시작하기 전에는 근육을 유연하게 이완시켜죠야한다.
하루에 5 ~ 15분 이 적당한데 30분이나 1시간을 할수 있는 사람이면 쇠다리를 가졌다고 해도 된다.
질병에 좋고 나중에 손에 철구나 무거운거를 올려놓고 수련하면 된다.
답변하기 (익명보장)
hiphop85
답변입니다.복식 발차기는 단식보다 어렵고 빨라야 그 맛을 느낄수 있습니다.
복식 발차기에는 쉽게는 돌려차기 + 돌려차기가 있고 어렵게는 돌려차기 + 뒤차기 + 내려차기 같은 콤비내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복식 발차기는 실전이나 K-1, 또는 PRIDE같은 이종 격투기에서는 사용하는게 곧 자살 행위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라리 돌려차기 + 이권 같은 주먹과 발차기를 연결하는게 훨씬 유용합니다.
주먹 + 발차기든 발차기 + 발차기든 중요한 것은 연습량입니다. 연습을 많이 하면 못할 기술은 세상에 없습니다. 처음에 연습하시고 싶으신 것을 고르세요. 예를 들자면 돌려차기 + 나래차기 + 뒤차기를 골랐다면 그 동작들을 부분적으로 연습하세요. 즉, 돌려차기를 먼저 빠르게 차고, 그다음 나래차기를 차고, 그 다음 뒤차기를 차고 제자리로 빨리 회수하는 겁니다. 이게 잘 되면 그다음에는 천천히 그 동작들을 이어서 차보는 연습을 하세요. 처음에는 균형도 잘 안잡히고 빠르게 안됩니다. 하지만 그게 다 되는게 이상한 거니 그런건 걱정 마세요. 그 천천히 하는게 수월해지면 저절로 속도가 빨라지도 파워도 붙습니다.
님께서 연속 발차기의 대표적인 예인 무한 나래차기(?)를 하고 싶으시다면 약쪽 돌려차기를 매일 연습하세요. 양쪽 합해서 한 400여번 정도를 매일 말입니다. 그렇게 매일 하면 나중에는 발차기에 힘이 붙고 중심잡는 법도 혼자서 터득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속도나 파워 보다는 매일 연습하는 끈기 입니다. 제가 매일 강조하지만 끈기 앞에서는 무서울게 없습니다.
전 님께 복식 발차기, 즉 연속 발차기를 권장해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뭐 태권도나 그런 겨루기 같은 때에는 잘 쓰이지만 막상 실전에 가면 복식이고 뭐고 없습니다. 가장 빠르고 쎈 한방이 모든것을 결정짓거든요. 즉 님께 많은 주먹 기술과 단발 발차기를 연습하실 것을 권장해드리고 그래도 복식 발차기를 하시겠다면 가장 간단하고 빠르고 강한 것만 골라서 연습을! 그 예를 몇가지 드리자면...
1) 돌려차기 + 돌려차기 (하단 + 중단, 하단+ 상단, 중단 +중단, 중단 + 상단 등...)
2) 돌려차기 + 뒤차기
3) 돌려차기 + 뒤후리기
4) 돌려차기 + 내려차기
5) 뒤차기 + 돌려차기
6) 뒤후리기 + 돌려차기
7) 내려차기 + 돌려차기
등이 있습니다... 님의 수련에 무궁한 발전을 기원!
출처 : 본인직접 작성
2004-01-04 신고
ridic
복식발차기 , 족도초식단식발질은 나은편 인데
한번차고 나면 축이 되는 다리가 움직이고요
한번차고 나면 다음 발질이 힘들어요
요령이 부족해서 인것하고 수련 부족
요령 . 복식발차기 할떄 처음 동작은 살살 다음동작은 썌게
수련 . 중심잡기 트레이닝
소림마보참춘공을 추천합니다.
마보 수련법 (저는 하루에 5분정도하는데 허벅지가 굴어지면서 발차기를 오래할수잇었습니다.)
- 사평마보의 자세로 참춘공을 수련하면 그운동의 강도가 비교적 큰편이다. 연공 시에는 양발ㅇ르 벌리고 발끝도 앞으로 평행하게 하여 선다. 열발가락으로 땅을 움켜 잡듯이 서는데 발바닥 중앙은 땅에 대지 않는다. 이것을 조지(爪地) 라고 한다. 무릎을 굽혀서 90도가 되게 하며 허리와 고개를 바르게 펴서 앞으로 기울지 않도록 주의한다.
양손의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고 네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벌린다. 엄지 손가락도 구부려지지 않도록 곧게 편다.
양팔꿈치를 들어서 어꺠 높이로 수평이 되게 하는 방법과 손끝을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시선은 두손가락의 끝을 내려다본다.
(간추려서)연공을 시작하기 전에는 근육을 유연하게 이완시켜죠야한다.
하루에 5 ~ 15분 이 적당한데 30분이나 1시간을 할수 있는 사람이면 쇠다리를 가졌다고 해도 된다.
질병에 좋고 나중에 손에 철구나 무거운거를 올려놓고 수련하면 된다.
출처 : 소림내공술
2004-01-03 신고